누가 더 이상 ‘궁’을 그저 재미 없는 전통 문화유산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그간 경복궁을 비롯해 덕수궁, 창덕궁, 창경궁, 경희궁 등 서울 5대 궁은 끊임없이 시대의 흐름에 응답하며 변화를 모색해 왔다.
그 중 가장 많이 알려진 게 바로 경복궁 야간특별관람이다. 온라인으로 미리 예매를 해야 하는 프로그램으로 시즌이 되면 예약 시스템이 마비될 정도로 인기 있다. 포털 사이트에 해당 검색어를 입력하면 ‘예매 성공하는 방법’ 까지 나올 정도니 말이다.
경복궁 근정전 야경.(출처=문화재청)
이렇게 궁은 단순히 내외국인 관람객들이 내부를 관람할 수 있도록 개방하는 것에서 벗어나 다채로운 경험을 해볼 수 있는 기회를 속속 마련하고 있다. 관람객들이 저마다의 취향과 관심사에 맞춰 오롯이 나만의 방식으로 궁을 즐겨볼 수 있는 것이다.
관련해 지난 4월부터 경복궁에서는 경회루 특별관람 프로그램도 운영해오고 있다. 그간 경복궁을 방문하면 먼 발치에서 감상하거나 그 배경으로 사진만 찍어볼 수 있었던 경회루에 직접 들어가 볼 수 있는 기회라니, 흥미롭게 들렸다.
문화재청 경복궁 누리집에서 예약(http://www.royalpalace.go.kr:8080/content/guide/guide26.asp)을 진행한 후 경복궁으로 향했다. 경회루 특별관람은 100% 온라인 사전 예약만 받고 있으며 정기휴일인 화요일을 제외한 평일에는 10시, 14시, 16시 매회 100명씩 관람할 수 있고 주말에는 10시, 11시, 14시, 16시로 관람인원은 같다.
![]() |
경복궁 경회루 가는 길. |
예약한 시간에 맞춰 경회루 옆 함흥문에 도착했다. 이곳에서 예약 내역을 확인하고 경회루 내부로 입장할 수 있다. 문화재 보호 및 원활한 관람을 위해 문화재 해설사의 인솔 하에 관람할 수 있으며 따로 외국어 해설은 하지 않는다고 한다.
드디어 경회루 안으로 발을 디뎌봤다. 국보 제 224호로 연못 안에 조성된 2층 누각. 외국 사신의 접대나 임금이 공신들을 위해 연회를 베푸는 등 국가적 행사에 사용하던 건물로 그 가치가 커 평소 접근이 제한되는 곳이다.
![]() |
연못 건너에서 바라 본 경회루의 전경. |
해설사를 만나 경복궁에 대한 간략한 역사적 설명을 듣고 모두 함께 2층으로 향했다. 문화재가 훼손될 우려가 있어 마련된 슬리퍼를 신어야 하지만 맨발도 허용된다고 해 후자를 선택했다. 2층에 올라가 특유의 목재 재질을 느끼며 이곳저곳 거닐어 봤다. 국보를 두 발로 걷고 있다는 기분이 굉장히 특별했다.
2층에 서니 경복궁이 한 눈에 들어왔다. 북쪽으로는 북악산이 보이고 어슴푸레 청와대 지붕도 보이는데 경회루에서 보는 이 북악산 모습의 경치는 손에 꼽힐 정도라고 한다.
서쪽으로 바라보면 인왕산이 보이는데 인왕산은 정선의 유명한 인왕제색도의 배경이 된 곳이기도 하다. 동서남북 어느 방향으로 바라 봐도 경회루에서 보는 경치는 참 멋졌다.
![]() |
경회루에서 보이는 인왕산. |
사실 경회루는 임진왜란을 거치며 완전히 소실돼 폐허가 됐으나 흥선대원군 집권 때 재건된 것이다. 하지만 일제시기에 경회루 주변 담장들이 다시 모두 헐린 채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회루는 현재 연못 건너편에서 그 모습과 안쪽이 보이지만 본래는 담장이 높게 둘러 있어 바깥에서는 경회루 안이 보이지 않았다. 경회루에서만 바깥 경치를 조망할 수 있었다고 한다.
경회루 특별관람을 더욱 풍성하게 채워 준 해설사.
해설사의 유익한 설명을 듣다보니 금방 시간이 흘렀다. 경회루 특별관람은 약 40여 분 정도 소요되는데 30분은 해설이 진행되고 남은 시간 동안에 사진을 찍어보는 등 자유롭게 보낼 수 있다.
경회루 특별관람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좋은 경험이었다. 아직 야간특별관람은 가보지 못했는데 이 또한 덩달아 기대치가 높아지는 듯하다.
![]() |
경회루 2층에 앉아 특별한 기분을 만끽해보는 시민들의 모습. |
경복궁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은 이 외에도 유치원 대상 관람객들을 위한 ‘할머니가 들려주는 경복궁 이야기’, ‘집옥재 왕실 문화강좌’ 등도 있다.
마지막으로 궁에서는 다채로운 공연도 관람할 수 있다. 고궁콘서트, 궁중문화축전 등 정기적인 행사 외에도 특별한 계기에 따라 공연이 준비되기도 하는데 오는 9월에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대회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고자 다양한 장르의 음악인들이 참여하는 ‘심쿵심쿵 궁궐콘서트’가 열린다고 한다.
현재 참여가 가능한 프로그램은 앞서 소개한 경회루 특별관람(10월까지)과 야간특별관람(9월까지)이니 관심 있다면 서둘러볼 것을 권한다. 뿐만 아니라 계절별 색다른 테마의 행사도 진행되니 우리 문화유산의 팔색조같은 매력을 빠짐없이 만나보길 추천한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인생 100세 시대, 개인형퇴직연금은 필수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