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지워!” 한마디에 칠판 글씨가 싹~

‘이러닝 코리아 2017’ 현장 취재기

2017.09.12 정책기자 유재호
글자크기 설정
목록

학창시절부모님께서는 항상 이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넌 정말 좋은 환경에서 공부를 하는 거야. 우리 때는 지금처럼 인터넷 강의라는 온라인 시스템이 없어서 수업 시간에 선생님 말씀을 놓치면 절대 안됐었어. 수업 시간에 조는 바람에 친구들 노트 빌려다 많이 베끼기도 했었지.

1
이러닝 국제박람회에서 EBS가 참여하여 이벤트를 선보이고 있다.
이러닝 코리아 2017 박람회장.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경기도교육청이 주최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교육정보진흥협회, 한국이러닝산업협회가 주관하는 ‘이러닝 코리아 2017’(e-Learning Korea 2017)이 지난달 말 코엑스에서 열렸습니다. 

이러닝, 새로운 기술로 날개를 달다라는 슬로건 아래 교육과 IT가 합쳐져 박람회에 참여한 관람객들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10개의 교육 콘텐츠가 이번 박람회에 날개를 달아 새로운 교육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과연 오늘날 교육환경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요?

1인 체제 미디어 강의 환경을 조성하여 참여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기술에 인공지능을 접목해 다양한 지식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요즘 유튜브를 들어가게 되면 자기만의 공간에서 자기만의 조그마한 카메라를 이용해 뷰티
, 맛집, 일상, 리뷰,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를 올리는 유투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마이리틀텔레비전’ 이라는 프로그램처럼 그 공간에 있는 사람은 혼자인데, 여러 명과 대화할 수 있는 것처럼 자신만의 콘텐츠 제작이 가능해졌습니다.

지금 위에 보이고 있는 연두색 스튜디오도 비슷합니다. 강의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공간인데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기술에 인공지능을 접목시켜 새로운 지식 콘텐츠 제작이 가능합니다. 

강의를 다 하고 나면 그 자리에서 편집이 가능하고,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기술과 소리기술도 한층 업그레이드 됐다고 하네요.

음성인식과 실시간의 강조표현(터치펜)이 가능한 전자칠판
음성인식, 터치펜 가능한 전자칠판.

예전에는 선생님이 알록달록 분필을 가지고 초록색 칠판 위에 글씨를 써가며 수업을 했는데, 이번 박람회에서는 전자칠판이 눈에 가장 띄었습니다. 

실시간으로 선의 굵기나 색깔, 펜의 종류를 변화시켜 강조표현이 가능해, 영어나 국어 지문의 핵심을 빠르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전자칠판의 또 다른 매력은 음석인식이 가능하다는 것이었습니다. 예전 같았으면 일일이 분필가루 마셔가며 일일이 손으로 지웠던 것을 지워!”라는 한마디에 전자칠판의 글씨들이 싹 없어지는 마법같은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퍼즐을 이용한 인코더 학습 교육용 놀이를 시연하고 있다.
퍼즐을 이용한 인코더 교육용 놀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컴퓨터의 인코더는 동영상이나 음성신호를 다른 신호형태로 바꾸는 장치를 말합니다. 다시말해, 명령 부호 등을 이용해 웹사이트 구축을 하거나 자동화 기술을 구축하는 일종의 언어라고 볼 수 있죠. 그런데, 요즘은 어린이들도 이런 복잡한 컴퓨터 언어를 쉽게 배울 수 있도록 장려해주는 신제품이 등장했습니다.

형태는 여러가지입니다. 컴퓨터 언어를 인식시킨 카드를 넣으면 말판 위에 있는 로봇이 움직이게 할 수 있도록 만든 보드게임, 또는 움직임을 어떻게 구성할지 조각을 맞춰가며 만들 수 있도록 한 퍼즐같은 제품도 있었습니다.

종이책이 아닌 전자책을 사용하고 있다.
디지털 교과서.

디지털 교과서라는 것도 있었습니다. 일부 초, , 고등학교에서는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해 교육을 하고 있기도 하다는데요.

터치펜을 이용해 스크린에 필기하고, 강조표현이 가능합니다. 공부를 하다가 모르는 단어가 나오게 되면 실시간으로 검색해 알 수 있고, 문제를 풀다가 틀리게 되면 비슷한 문제를 더 풀어볼 수 있습니다.

거기에 현재 진도가 얼마만큼 나갔는지 자기관리시스템까지 가능할 정도이니, 참 똑똑한 교과서입니다.  

초, 중, 고등학교의 테두리를 넘어 산업현장에서도 쓰이고 있는 인코더 교육
초, 중, 고등학교의 테두리를 넘어 산업현장에서도 쓰이고 있는 인코더 교육.

부모님 얘기, 그리고 제가 공부했던 과거의 모습과 비교해보면 지금 현재, 그리고 앞으로 교육을 받기가 점점 더 수월해질 것이라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박람회를 다 둘러본 순간 공부하기 좋은 환경이라는 과거 부모님 말씀에 저절로 고개가 끄덕여지는 하루였습니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유재호 gaia9305@naver.com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조선왕실의 삶과 죽음, 여주에서 마주하다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123대 국정과제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