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왕의 성화’

어가행렬, 드론 등 서울 성화봉송 현장 취재기

2018.01.17 정책기자 김혜인
글자크기 설정
목록

안녕하세요? 평창동계올림픽 마스코트 수호랑입니다. 이제 평창동계올림픽이 한 달도 남지 않았네요. 우리 선수들~ 경기 치를 준비, 잘 하고 계시죠? 저 수호랑도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수호랑이 지금 어디를 가고 있는 걸까요?
수호랑이 지금 어디를 가고 있는 걸까요?
 

지난 11월 1일, 그리스 올림피아 헤라 신전에서 가져온 성화가 인천공항을 통해 들어온 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74일이 흘렀습니다. 그리고 드디어 2018년 1월 13일, 모두를 빛나게 할 평창올림픽 성화가 서울에 입성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박수 한 번 주세요~ 짝짝짝!!!

아하! 서울에 입성한 성화를 보러 가는  길이군요.
아하! 서울에 입성한 성화를 보러 가는 길이군요.
 

13일부터 나흘간 서울 곳곳을 돌고 돌아 시민들의 올림픽 열기를 북돋운 뒤 평창올림픽 메인무대인 강원도로 간다고 하니 벌써부터 심장이 두근대는 건 저만의 일인가요? 이 두근대는 심장을 부여잡고 평창동계올림픽 마스코트 저 수호랑과 평창동계패럴림픽 마스코트인 제 친구 반다비가 서울에 입성한 성화를 보러 광화문으로 달려갔습니다. 

수호랑, 반다비와 함께 성화봉송 보러 가시죠. 출~발
수호랑, 반다비와 함께 성화봉송 보러 가시죠. 출~발
 

이번 서울 성화봉송은 특별한 이색봉송을 1탄? 아니죠~ 2탄? 음~ 댓츠 노노!! 무려 3탄이나 준비했으니 기대가 하늘로 치솟고도 남을 지경이었습니다.

19번째 봉송 주자가 서울로 7017를 뛰고 있습니다.
19번째 봉송 주자가 서울로 7017를 뛰고 있습니다.
 

먼저 이색봉송 1탄! ‘스~파이더 봉송’. 보통 성화봉송을 할 때 봉송 주자옆에 경호원분들과 경호 차량들이 함께 움직이는 걸 보셨죠? 그런데 그렇게 움직이면 차량이 들어갈 수 없는 장소가 꼬~옥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엔 차량이 들어가지 못하는 문화 관광 명소에 주자만 들어가서 뛰는 일명 ‘스파이더 봉송’ 이벤트를 준비했습니다. 그 많은 명소 중 한 곳이 ‘서울로 7017’ 고가 공원이었는데요, 함께 올라가 볼까요?

우아하게 피겨 스케이팅 포즈로 찰칵!
우아하게 피겨 스케이팅 포즈로 찰칵!
 

서울로 7017에서 진행된 성화봉송 주자는 7명으로 모두 외국인이었습니다. 19번째 봉송주자는 피겨스케이팅 포즈를 취해달라는 기자의 요청에 상큼한 미소와 함께 찰칵! 

불꽃을 보며 환하게 웃는 성화봉송 주자의 모습입니다.
불꽃을 보며 환하게 웃는 성화봉송 주자의 모습입니다.
 

성화봉송 주자들끼리 바통터치하는 토치키스 장면을 찍기 위해 기자들뿐만이 아니라 구경 온 시민들까지 분주하게 셔터를 눌렀습니다. 토치키스하는 성화봉송 다음 주자가 매우 즐거워보이죠? 

서울로 7017에서 만난 김윤희씨
서울로 7017에서 만난 김윤희 씨.
 

서울로 7017에서 만난 김윤희 씨. “저기~ 이곳에서 성화봉송 행사가 있나요? 몇 시부터 시작되나요?” 지나가는 길에 봉송주자들이 있는 걸 보고 잠시 멈춰섰다는 윤희 씨는 호기심 가득한 얼굴로 물었습니다. 

이 좋은 기회를 놓칠 평창올림픽 홍보대사인 제가 아니죠! 평창올림픽 선수단에 응원의 한마디를 부탁했습니다. “최고도 좋지만 최선을 다해서 후회없는 경기를 치뤘으면 좋겠습니다.” 라고 말하며 살포시 사진 한장 찍혀(?) 주셨습니다. 

성화봉송을 보기 위해 광화문 광장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었습니다.
성화봉송을 보기 위해 광화문광장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었습니다.
 

어라? 시간이 이렇게 됐나요? 자~ 이제 많이 어두워졌죠? 마지막 성화봉송 장면을 보기 위해 광화문광장으로 사람들이 많이 모여들었습니다. 유후~ 기다리고 기다리던 이색봉송 2탄!! 어가행렬 성화봉송이 시작됐습니다.

이색 성화봉송 2탄!! 어가행렬이 시작됐습니다.(출처=평창동계올림픽 위원회)
이색 성화봉송 2탄!! 어가행렬이 시작됐습니다.(출처=평창동계올림픽 위원회)
 

경복궁에서 시작된 어가행렬이 장관을 이루며 움직이는데 사람들이 열심히 박수와 환호로 환영해 주네요. 어가행렬 성화봉송 주자는 황실문화회 종친회 이홍배 이사장께서 맡으셨습니다.

어가행렬 봉송 주자와 다른 성화봉송 주자가 토치키스하는 장면은 참 이색적이었는데 마치 세종대왕님이 성화봉송을 들고 계신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 들었습니다.  

세종대왕님(?)과 성화봉송주자가 토치키스하고 있습니다.(출처=평창동계올림픽 위원회)
세종대왕님(?)과 성화봉송 주자가 토치키스하고 있습니다.(출처=평창동계올림픽 위원회)
 

대망의 이색 성화봉송 3탄!!! 세계 최초 5G 기술이 탑재된 드론이 성화를 들고 나타났습니다. 드론을 띄우기 전, 국내기자와 외신기자들에게 통신장애가 생길 수 있는 요소는 자제해달라는 안내방송이 나왔습니다.

이색봉송 3탄!!! 세계최초 5G 기술이 접목된 드론이 성화봉송 주자로 발탁됐습니다.
이색봉송 3탄!!! 세계최초 5G 기술이 접목된 드론이 성화봉송 주자로 발탁됐습니다.
 

부~왕~ 하는 소리와 함께 154번째 봉송주자 드론이 힘차게 하늘을 나네요. 마지막 봉송주자인 드론 레이싱 세계 챔피언 김민찬 선수가 드론으로부터 받은 성화를 성화대에 점화하고서야 서울 1일차 봉송 일정이 마무리 됐습니다. 

드디어 서울에 성화가 점화됐습니다. 야호~(출처=평창동계올림픽 위원회)
드디어 서울에 성화가 점화됐습니다. 야호~(출처=평창동계올림픽 위원회)
 

이제는 축제를 즐길 차례죠. 두둠치~두둠치~ 신나게 즐기고 있던 그때! 성화봉송 현장에서 만난 최지원 양과 엄준희 양. 수능 끝나고 홀가분 기분으로 광화문을 찾은 그녀들에게 질문 하나! 평창올림픽을 위해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요~

(왼쪽부터) 최지원양과 엄준희양이 평창올림픽 선수단에 응원 하트를 보내줬습니다.
(왼쪽부터) 최지원 양과 엄준희 양이 평창올림픽 선수단에 응원 하트를 보내줬습니다.
 

최지원 양의 한마디!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올림픽이라 기대가 많이 큰데 무사히 경기가 잘 끝났으면 좋겠습니다.” 라고 답해주셨고요, 엄준희 양은 “평창에 경기보러 갈테니까 그때까지 선수들 다치지말고 평창에서 만났으면 좋겠어요.” 라고 말했습니다. 

이제부터 축제를 즐겨봅시다. 소리질러~
이제부터 축제를 즐겨봅시다. 소리 질러~
 

서울에서 느껴 본 평창올림픽의 열기, 어떠셨나요? 이 후끈한 열정이 느껴지시나요? 시간이 정말 스켈레톤 타는 급으로 휙~휙~지나가고 있는데요, 얼마 안 남은 평창올림픽 개최일을 달력보며 손꼽아 기다리고 있습니다.

우리 선수들뿐만이 아니라 평창동계올림픽에 참가하는 선수들 모두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시고 우리 꼭 평창, 강릉, 정선에서 만나요~ 꼭이요~




김혜인
정책기자단|김혜인
kimhi1003@hanmail.net
행복은 항상 내 곁에 있어.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외국인들도 함께한 성화봉송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123대 국정과제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