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창 장마가 기승이던 지난 5월 실시간 검색어에서 내려올 기미가 안 보이던 검색어가 있었습니다. 바로 ‘라돈 침대’입니다. 침대에서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의 인체피해 기준치인 4pCi/l 에서 9배 이상의 라돈이 검출된 것입니다.
이런 불안은 ‘과연 내 침대에도 라돈이 방출되는 건 아닌가?’, ‘침대 말고 다른 물건에서도 라돈이 방출되면 어쩌지?’, ‘애들 유치원이나 학교는 괜찮을까?’와 같은 생각들로 이어졌습니다. 이러한 걱정을 잡아주기 위해 성동구청에서는 ‘라돈 측정기 대여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
성동공유센터. |
7월 9일부터 시작된 ‘라돈 측정기 대여 서비스’를 통해 현재 203가구(7월 18일 기준)가 측정을 했습니다. 그렇다면 ‘라돈 측정기’는 어떻게 대여할 수 있을까요?
성동구민 누구든지 성동구청 홈페이지에서 신청하거나 성동공유센터를 방문해 회원가입을 한 후 4시간에 1천 원으로 대여할 수 있습니다.(카드 결제도 가능합니다.)
이제 우리집 침대의 라돈을 측정해 볼까요?
① 정확한 측정을 위해 창문과 방문을 꼭 닫습니다.
② 측정하고자 하는 곳에 측정기를 놓은 후 전원을 연결합니다.
③ 측정값은 10분 간격으로 표시되나.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1시간이 소요됩니다.
![]() |
대여한 라돈 측정기. |
너무 간단한 사용법 아닌가요? 이때 측정값이 어린이집 라돈 관리 기준치인 4pCi/l 이상일 경우 해당 물품을 비닐로 덮어 놓고 2차 정밀측정을 합니다. 그리고 2차 정밀측정에서도 권고기준을 초과했을 경우에는 원자력안전위원회 등 관계기관과 협의하여 오염원을 제거합니다.
라돈 측정결과 권고기준은 초과하지 않으나, 비교적 높게 라돈 농도가 측정되는 경우에는 전문가 등 자문을 통해 환기 설비 개선방안 등 라돈 농도를 낮게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권고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측정된 203가구 중 4pCi/l 이상으로 측정된 가구는 단 8가구고 권고기준을 초과하거나 전문가와 상담이 필요할 정도로 높은 측정값이 나온 가구가 없어 전문가와의 상담은 진행된 사례가 없습니다.
방문측정서비스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저소득층, 취약계층,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및 어르신을 대상으로 무료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성동구청 홈페이지에서 신청을 받기도 하지만 성동구청 맑은환경과로 전화 신청도 가능합니다.
![]() |
다행히 기준치 이상 라돈이 검출되지 않았다. |
저도 측정기 한 대를 대여해 침대들의 라돈 수치를 측정해보았습니다. 설명서대로 문과 창문을 전부 닫고 10분 간격으로 1시간 동안 측정하였습니다. 다행히 저희 집은 4pCi/l 이상의 라돈이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침대나 가구라는 것이 늘 가까이 곁에 두고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라돈 침대 사태로 많은 사람들이 놀랐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라돈 측정기 대여 서비스는 성동구청, 노원구청, 안양시, 성남시 등에서 시행하고 있습니다.
□ 라돈측정기 대여 신청성동공유센터(행당로6길10(행당동)), ☎02-2282-6550
⇒ 성동구민 누구나 성동공유센터를 방문하여 회원가입 후 대여 및 예약가능
⇒ 대 여 료: 4시간 기준 1,000원
□ 방문측정서비스 신청
대상: 저소득층 및 취약계층
⇒ 시행기간: 2018.7.9.(월) ~ 2018.8.2.(목)
⇒ 접 수 : 맑은환경과 ☎02-2286-5501~6로 전화 신청
성동구청 홈페이지 (http://sd.go.kr/sd/main.do) 온라인 신청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한정은 dbrhkstns1910@naver.com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지반침하, 지하안전정보시스템으로 막는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