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을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풍경이 바뀌고 있다. 어느새 카페 안에서는 1회용 컵을 찾아보기 힘들고, 곳곳에서 포장 비닐의 사용이 줄었다. 장을 보고 돌아갈 때면 1회용 봉투가 아닌 다회용 장바구니나 종량제 봉투에 물건을 넣어가곤 한다.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면서 포장재도 친환경적으로 바뀌고 있다. 자원재활용법(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이 개정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25일부터 재활용 용이성에 따라 포장재를 4개 등급으로 나누고, 등급에 따라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분담금을 나누는 법령이 시행됐다.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는 자원 절약과 재활용을 촉진하도록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의 일정량 이상을 재활용하도록 생산자에게 의무를 부여하는 제도로 2003년부터 시행해오고 있다.
![]() |
투명 페트병들이 많아졌다. |
주말 저녁, 장을 보러 방문한 마트에서는 페트병의 색깔이 바뀌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색깔있는 페트병을 사용하던 사이다나 소주, 주스병에서 색깔이 쏙 빠지고, 그 자리를 투명한 페트병이 대신하고 있었다. 아직은 시행 초기인 만큼 새로운 투명 페트병에 담긴 음료와 색깔 페트병에 담긴 음료가 함께 놓여 있었다.
색깔 있는 페트병이 사라지게 된 이유는 재활용이 어렵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페트병은 무색 투명하고 이물질이 적을수록 재활용이 용이하다. 또 몸체에 붙은 라벨이 쉽게 떼어지고 가벼워야 한다.
![]() |
페트병의 몸체에 붙은 라벨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
이에 따라 페트병의 색깔이 투명해지는 한편, 몸체에 붙은 라벨도 변하고 있었다. 보통 음료 제품은 색색깔의 페트병 위에 라벨을 인쇄하거나, 폴리염화비닐(PVC)로 만든 라벨을 붙여 브랜드와 제품명을 표시한다.
그러나 라벨이 떼어지지 않는 경우 재활용이 어렵기 때문에, 일반 접착제의 사용도 금지했다. 이에 따라 투명해진 페트병 위에 포장재를 병에서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접착제의 사용이 줄어들고, 분리선이 표시된 제품들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 |
자원재활용법 개정안에서는 모든 제품의 포장재를 재활용이 어려운 정도에 따라 4개 등급으로 나눈다.(출처=환경부) |
페트병이 투명해지고 포장재가 친환경적으로 바뀌는 것은 새로운 포장재 분류법 때문이다. 새로운 분류법은 우리나라에 유통되는 모든 제품의 포장재를 캔, 유리, 금속 등 9가지로 분류해 재활용이 어려운 정도에 따라 최우수, 우수, 보통, 어려움 등 4개 등급으로 나눈다.
몸체, 라벨, 뚜껑 등 용기의 모든 부분이 심사 대상이며, 가장 하위 등급에 해당되는 제품 겉면에는 ‘재활용 어려움’이라는 문구가 표시된다. 생산자는 등급에 따라 환경부담금을 최대 30%까지 추가 부담하게 된다고 한다.
![]() |
이제 기존에 ‘분리배출’이라고 쓰인 자리에서 재활용 용이 정도를 알 수 있다. |
우리나라에는 기존에도 1~3등급으로 나뉘는 포장재 분류체계가 있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등급 판정이 권고사항에 불과했다. 그러나 새로운 개정법에서는 생산자가 환경 부담을 책임지고, 좀 더 친환경적인 포장재를 생산할 의무를 가지게 됐다. 이제부터는 기존에 ‘분리배출’이라고 쓰여진 자리에서 재활용 용이 정도를 바로바로 알 수 있게 됐다.
![]() |
맥주병은 페트병과 유리병 모두 특유의 갈색을 띠고 있다. 맥주의 갈색 페트병은 아직까지 그대로였다. |
마트를 돌아보니 아직 투명한 용기로 바뀌지 않은 제품도 있었다. 바로 맥주 페트병이었다. 특유의 갈색을 띠고 있는 맥주병 용기는 재활용이 어려운 소재이지만, 제품의 변질을 막기 위한 선택인 만큼 투명 페트병으로 용기를 교체하기가 어렵다.
이 때문에 맥주 업계는 환경부,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과 자발적 협약을 맺고 맥주 페트병을 캔이나 유리병 등 재활용이 용이한 소재로 바꾸기로 했다고 한다.
![]() |
화장품에 자주 쓰이는 펌프형 용기. |
화장품에 자주 쓰이는 펌프형 용기도 예외적이다. 펌프형 용기의 경우 스프링이 들어가 재활용이 어렵다고 분류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 수출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대체가 쉽지 않아 규제를 완화해 주기로 했다고 한다. 이번 자원재활용법은 내년 9월까지 9개월 간 계도기간을 갖는다.
여유로운 주말 저녁, 마트에서 사람들은 투명한 용기에 담긴 음료를 한참 바라보다가 몇 개씩 구매해 발걸음을 돌렸다. 진열대에 가득 놓인 알록달록한 병들을 보는 재미는 없어지겠지만 환경을 위한 변화는 반갑다. 나의 작은 불편함이 더 깨끗한 내일을 만들 수 있다면 좋겠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 및 변경을 금하는 조건으로 비상업적 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요즘 들어 깜빡깜빡~ 치매안심센터를 믿어보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