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코로나19로 불안감이 커지는 가운데, 북적이던 거리가 한산해지면서 자영업자들이 그 어느 때보다 힘겨운 나날을 보내고 있다. 대학가 자영업자들 역시 대학들의 개강 연기로 거리가 텅 비면서 여느 때보다 힘든 시기를 겪고 있다.
성북구 안암로에 위치한 고려대학교도 다른 대학과 마찬가지로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개강 연기와 온라인 강의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대학 강의 특성상 많은 수의 학생들이 모여 함께 수업하기 때문에 집단감염의 위험이 큰 점을 고려한 것이다.
하지만 이로 인해 안암 상권은 큰 위기를 겪고 있다. 평소엔 줄을 서서 기다려야 할 정도로 대학생들로 북적이던 가게가 텅 비었고, 이에 자영업자들의 근심이 늘어가고 있다.
![]() |
sofo(소포) 앱 첫 화면. 접속하면 바로 신청 배너가 눈에 들어오도록 되어 있다. |
이러한 대학 상권의 위기 극복을 돕기 위해, 고려대학교 학생 커뮤니티인 ‘고파스’가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고파스는 고려대학교 재학생, 졸업생들이 이용하는 대표 커뮤니티로 재학생들 중 고파스에 가입하지 않은 학생이 없을 정도로 이용 빈도가 높다.
고파스는 커뮤니티 뿐만 아니라 ‘sofo(소포)’ 라는 맛집 정보 앱을 서비스하고 있다. sofo(소포)는 고려대학교 부근 상권의 상점 정보, 그리고 이용자들의 리뷰를 다루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다.
고파스 운영팀은 이러한 sofo 어플을 이용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고려대학교 상권에 무료 홍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sofo 어플에 들어가면 첫 화면에 무료 광고 신청 배너가 뜨고, 이를 터치하면 광고를 신청할 수 있는 신청서를 볼 수 있다. 신청서에는 상점명과 주소, 전화번호와 대표 메뉴, 그리고 가게를 소개할 수 있는 멘트 등을 기재하도록 되어 있다.
![]() |
배너를 클릭하면 접속할 수 있는 신청서 폼 |
신청 배너 밑으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홍보를 신청한 가게들의 홍보 문구가 눈에 들어온다. 가게 이름과 함께 음식 사진이나 대표 메뉴 등의 설명이 보일 수 있도록 홍보 공간이 따로 마련돼있다.
고파스 운영자 박종찬 대표는 “개강이 연기되고 수업이 온라인으로 대체되면서 상권의 붕괴가 우려됐고, 학생들이 애용하는 많은 식당과 상점들이 문을 닫게 된다면 학생들 또한 불편함이 클 것이라는 생각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만한 방법을 모색하게 됐다”고 말했다.
무료 광고 신청을 받은 지 3일만에 50개의 상점이 참여할 만큼 참여도가 높고, 앞으로 입소문이 퍼진다면 더 많은 상점에서 신청할 것이라 예상된다. 고려대학교 재학생들도 이러한 서비스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이다.
![]() |
sofo(소포) 앱 내 무료 홍보 공간. |
고려대학교 재학생인 고민석 군은 “대학생들의 이용 빈도가 높은 어플의 장점을 살려 학생들과 상권이 상부상조할 수 있는 방안인 것 같다”라며 위기를 잘 극복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종찬 대표는 “소비자의 권리를 지키자는 목적으로 출발한 맛집 평가 서비스(sofo)가 지역 상권을 살리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면 보람을 느낄 것 같다”며 “코로나19 사태가 잘 해결되고 예전의 활기를 되찾을 때까지 무료 광고 서비스를 계속할 것이고, 고려대학교 상권을 이용한 뒤 후기를 올리는 이용자들에게 기념품을 제공하는 방안도 구상 중”이라고 앞으로의 계획을 밝혔다.
대학 커뮤니티와 대학가 상권 간의 이런 훈훈한 모습들이 코로나19를 극복하는데 조금이나마 활력소가 되어줄 것이라 기대를 해본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코로나19 극복, 청년들이 뭉쳤다 ②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