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국민 제안이 정책 개선으로~

2022.01.28 정책기자단 전형
글자크기 설정
목록

정책의 최종 목적지는 국민들의 삶 속이다. 그렇기에 정책은 실수요자인 국민들의 의견을 경청하여 적극 반영해야 한다. 마침 정부는 작년에 대국민 온라인 공모를 통해 무려 1178건의 제안을 접수받았다. 국민 제안이 377건, 행정기관 제안은 801건이었다. 이 중, 검토를 거쳐 79건이 개선과제로 선정됐다. 

국민 제안 개선과제는 11건으로, 국민행복카드 발급 대상 확대와 의료비 자동 공제 방식 운영, 스마트폰 앱 QR코드 생성을 통한 제증명 일괄 무인 민원발급 등 우리 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과제들이 다수 눈에 띄었다. 나는 이 중에서 이미 시행 중인 2건의 서비스를 직접 살펴보기로 했다. 

많은 국민들이 활용하고 있는 쿠브(COOV) 앱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출처=COOV 앱)
많은 국민들이 활용하고 있는 쿠브(COOV) 앱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출처=COOV 앱)


먼저 코로나19 검사 확인서를 앱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접종 증명과 QR 체크인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쿠브(COOV) 앱을 통해 코로나19 검사 확인서 및 완치 확인서 등을 증명할 수 있다. 기존에는 온라인 조회 기능이 없어 출력된 종이를 가지고 다니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는데, 앞으로는 스마트하게 쿠브 앱으로 인증받으면 된다. 

그리고 성범죄자 열람 시 열람자의 이름과 아이피 정보가 삭제됐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성범죄자를 열람하게 될 때, 열람하는 사람의 이름과 IP가 워터마크 형태로 표기됐었다. 열람자의 개인정보가 노출되거나 유출될 수 있는 불안함을 감지한 국민들이 개선을 제안했고, 올해 1월부터 ‘성범죄자알림e’ 로고 형식의 워터마크로 개선됐다. 

나도 이 누리집에 들어가 확인해보니 내 이름과 IP주소 대신 누리집 이름의 워터마크가 스크롤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면서 개인정보 유출 걱정을 덜 수 있게 됐다. 

사진과 같이 '성범죄자알림e' 라는 워터마크가 표시된다.(출처=성범죄자알림e 누리집)
사진과 같이 ‘성범죄자알림e’라는 워터마크가 표시된다.(출처=성범죄자알림e 누리집)


정책을 집행하는 행정기관에서는 어떤 개선 제안을 했을까?

해양수산부는 ‘어촌체험휴양마을’을 운영하고 있다. 국민들의 어촌 방문을 유도하여 쉼과 힐링을 보장함과 동시에 어촌에는 새로운 수익 창출 모델을 구축하는 등 좋은 취지로 시행되고 있다. 이런 곳을 가려면 예약 시스템이 잘 갖춰져야 한다. 기존에는 전화 예약으로 받거나, 예약제 미운영으로 이용에 불편함이 많았다. 하지만 홈페이지와 앱을 통해 작년 12월부터 누구나 손쉽게 예약을 할 수 있게 됐다. 

시원한 메인화면.(출처=바다여행 누리집)
바다여행 누리집 메인 화면.(출처=바다여행 누리집)


나도 ‘바다여행’ 누리집에 접속하니 아름다운 휴양마을 전경이 영상으로 노출되면서 여행을 가고 싶다는 마음이 절로 들었다. 누리집 리뉴얼이 국민(여행자) 관점에서 직관적으로 잘 되었다고 생각했다. 

다양한 곳(콘텐츠)을 확인하여 예약할 수 있다.(출처=바다여행 누리집)
다양한 곳(콘텐츠)을 확인하여 예약할 수 있다.(출처=바다여행 누리집)


다음으로 ‘복지로’의 ‘복지지도’ 시스템을 복지로 앱에서도 확인 가능하도록 개선됐다. 기존에는 PC에서만 이동약자를 위한 건물 편의시설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좀 더 편리하고 손쉽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아무래도 PC보다는 앱의 접근성이 더욱 수월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개선 예정인 과제 중 주목할 만한 것들을 몇 가지 소개해보면, 올해 3월부터는 의료급여 수급자들도 ‘국민행복카드’ 발급 대상에 포함되도록 법령 개정이 추진되고 올해 5월부터는 종합소득세 신고 등 일부 민원에 대해 ARS 신고 서비스가 제공된다고 한다. 

복지로 복지지도 앱에 나타난 수많은 편의시설들.(출처=복지로 앱)
복지로 복지지도 앱에 나타난 수많은 편의시설들.(출처=복지로 앱)


우리나라에는 국민들을 위한 정말 많은 제도와 정책들이 있다. 이 제도들은 ‘계속 흐르는 물’이 되어야 한다. 국민들의 상황과 편의에 맞게 끊임없이 변화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이번 대국민, 행정기관 온라인 공모를 통해 의견을 제안받은 시도는 매우 유의미하다고 보여진다. 

<참고 누리집>

바다여행 누리집 : https://www.seantour.com/newseantour/main/main.do
복지로 복지지도 누리집 : https://www.bokjiro.go.kr/ssis-teu/twatca/wlfcl/wlfclPage.do
성범죄자알림e 누리집 : https://www.sexoffender.go.kr/indexN.nsc



전형
정책기자단|전형
wjsgud2@naver.com
안녕하세요! 2020 정책소통 유공 대통령표창 수상자 전 형입니다. 유익한 정책이 국민들에게 널리 알려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2023년 예산안에 내 아이디어를?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