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포근한 봄철, 산불조심 함께 동참해요!

2024.02.26 정책기자단 박하나
글자크기 설정
목록

몇 해 전, 내가 사는 밀양에 큰 불이 나 축구장 약 1000개 면적인 660ha가 불에 탔다. 건조한 날씨와 강한 바람으로 일주일이 지나고 나서야 겨우 불길이 잡혔다. 2년이 지난 지금도 그날의 흔적은 여전히 남아 있다. 맑은 날, 멀리서도 새까맣게 타버린 산을 볼 때면 마음 아플 때가 많다. 

최근 대구 수성구 가창 일대에서 발생한 산불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사진=대구소방안전본부)
최근 대구 수성구 가창 일대에서 발생한 산불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사진=대구소방안전본부)

건조한 봄이 다가오면서 산림청은 2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봄철 산불조심기간으로 정했다. 산림청이 봄과 가을에 산불조심기간을 정한 이유는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 특성상 봄과 가을에 습도가 낮고, 건조해 바람이 잘 불기 때문이다. 특히 산불은 상승기류로 인해 쉽게 번지며 험준한 경사지는 완만한 곳에 비해 약 8배 빨리 번진다고 한다. 가장 가슴 아픈 것은 산불 피해가 복원되는 과정이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산불 피해 지역의 경관이 복원되기까지 보통 20년에서 30년의 세월이 소요된다고 밝혔다.

입산자 부주의와 소각으로 인한 산불이 60% 이상을 차지함에 따라 산림청은 산불조심기간 중 전국 산불 발생 위험도가 높은 국립공원 104개 탐방로를 전면 통제(https://hiking.kworks.co.kr/new_intro.aspx)하기로 했다. 산림보호법에 따르면, 과실로 타인의 산림을 태우거나 본인 소유 산을 태워 공공을 위험에 빠뜨린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산림이나 인접 지역에서 불을 피우거나 화기를 갖고 있어도 10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물 수 있다. 또한 출입통제구역 무단 출입자는 자연공원법 제86조에 의거 50만 원 이하의 과태료, 인화물질 소지 및 흡연자는 2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는 점도 잊지 말아야겠다. 

입산자 부주의와 소각으로 인한 산불이 60%이상이 차지함에 따라 산림청은 산불조심기간 중 전국 산불발생 위험도가 높은 국립공원 104개 탐방로를 전면 통제하기로 했다.(사진=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입산자 부주의와 소각으로 인한 산불이 60% 이상을 차지함에 따라 산림청은 산불조심기간 중 전국 산불 발생 위험도가 높은 국립공원 104개 탐방로를 전면 통제하기로 했다.(사진=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산불이 났을 때 대피요령과 산불 예방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미리 알아둔다면 더욱 경각심을 갖고 주위를 둘러볼 거란 생각도 들었다. 

산행 중에 산불을 발견했다면 가장 먼저 119에 신고해야 한다. 스마트폰의 ‘스마트산림재해’ 앱을 활용해 산불 신고를 할 수도 있다. 스마트산림재해 앱은 산림청에서 신속한 산림재해 대응체계를 갖추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현재 위치 허용’으로 설정해 놓으면 본인 위치의 산불 위험 정도, 산사태 위험 예측, 산불과 산림 훼손 관련 신고도 가능하다. 

산불이 나더라도 당황하지 말고 잘 대처할 수 있도록 사전에 앱 기능을 숙지하면 좋을 것 같다. 또한 국가산불위험예보시스템 누리집에 접속하면 날씨 예보를 비롯해 금년 산불 현황, 소각 현황 등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산불이 나더라도 당황하지 말고 잘 대처할 수 있도록 사전에 스마트산림재해 어플 기능을 숙지하면 좋을 것 같다. (사진=스마트산림재해 앱)
산불이 나더라도 당황하지 말고 잘 대처할 수 있도록 사전에 스마트산림재해 앱 기능을 숙지하면 좋을 것 같다.(사진=스마트산림재해 앱)

산불로 인해 위험에 처했을 때 대피요령도 알아두자.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주위를 확인한 뒤 불길이 약한 곳으로 신속하게 대피해야 한다. 산불 규모가 커진다면 산불 발생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 하며, 불길을 등지고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움직여야 한다. 

아울러 행정안전부는 산불에 대한 신속한 상황 접수가 초기 대응을 위한 중요한 요소라며, 지난해 9월부터 산림청, 소방청, 경찰청 등과 협력해 산불을 신고하면 즉시 산림청으로 전달되는 과정이 기존 4분에서 2분으로 단축됐다고 밝혔다. 산림청은 중앙산림재난상황실에서 119 산불 신고를 24시간 실시간으로 더욱 신속하게 전달받게 됨으로써 앞으로 초기대응도 더욱 빨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산불 발생 주요 원인이 입산자 실화와 소각인 만큼 국민 모두가 산불예방에 힘써 소중한 산림을 지키는데 동참해야 할 때이다. (사진=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산불 발생 주요 원인이 입산자 실화와 소각인 만큼 국민 모두가 산불 예방에 힘써 소중한 산림을 지키는데 동참해야 할 때이다.(사진=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산림자원은 우리뿐만 아니라 후손들에게 물러줄 소중한 자산이다. 산불 발생 주요 원인이 입산자 실화와 소각인 만큼 국민 모두가 산불 예방에 힘써 소중한 산림을 지키는데 동참해야 할 때이다. 올해는 단 한건의 산불이 발생되지 않기를 간절히 바라본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박하나 hanaya22@hanmail.net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청년 통장의 끝판왕,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에 가입하세요!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