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3월 1일이 되면, 1919년 삼일운동의 뜨거운 함성을 떠올린다.
독립을 향한 열망과 조국을 지키겠다는 의지는 전국적으로 퍼져나갔고, 우리 민족은 압제에 굴하지 않는 강인한 정신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정신은 단순히 과거의 역사가 아니라, 오늘날에도 우리가 지켜야 할 가치로 이어지고 있고 대한민국 영토를 지키는 일과도 맞닿아 있다.
독도는 역사적으로, 지리적으로, 국제법적으로 명백한 대한민국의 영토이다.
이를 왜곡하는 행위는 단순한 오해가 아니라, 우리의 역사와 주권을 부정하려는 시도이다.
독립을 위해 싸웠던 선조들의 정신을 계승하는 것은 단순히 과거를 기리는 것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의 대한민국을 지키는 일이다.
삼일절을 지나는 3월, 우리 영토인 독도를 수호하는 것의 중요성을 다시금 깊이 느꼈다.
독도에 대해서 더 알아보던 도중, 교육부에서 개발한 '디지털 독도체험관'을 발견했다.
'디지털 독도체험관'에서는 확장 가상 세계(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독도체험관에 현장 방문을 하지 않아도 독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디지털 독도체험관 누리집 https://zep.us/play/R5dPlZ
.png)
◆ 독도를 여행하는 새로운 공간: '디지털 독도체험관'
'디지털 독도체험관'은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독도의 자연환경과 역사적 배경을 가상공간에서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단순한 정보 전달 방식이 아닌, 직접 참여하고 다양한 게임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독도에 대한 지식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다.
특히 방 탈출 게임, 도요새 구출하기 등의 콘텐츠를 포함하여 나이와 관계없이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png)
◆ 독도의 아름다움을 더 가까이, 독도 탐험대
디지털 독도체험관 중 한 주제인 '독도 탐험대'를 통해 가상으로 독도를 탐험할 수 있었다.
독도의 절경과 지형이 생생하게 재현되어 있어 화면을 통해서도 현장에 직접 서 있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얼마 전 독도를 다녀온 친구가 보내준 사진에 나와 있는 장소를 디지털에서도 모두 곳곳이 돌아다니며 찾을 수 있어서 흥미로웠고, 나도 마치 독도를 한 걸음 한 걸음 직접 탐방하는 듯한 경험이었다.
.png)
.png)
◆ 역사적 근거를 학습하는 '독도 역사 지킴이'
.png)
체험관의 주요 콘텐츠 중 하나인 '독도 역사 지킴이'는 독도가 대한민국의 영토임을 입증하는 다양한 역사적 사료를 방 탈출 게임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
.png)
실제 방 탈출처럼 여러 단서를 찾고 조합하여 정답을 맞혀야 했고, 각 퀴즈가 굉장히 구체적이고 잘 짜여 있다고 느꼈다.
그래서인지 모든 퀴즈를 풀고 미션을 완료했을 때는 정말 뿌듯하고 기뻤다.
문제들을 다 풀고 나니 독도의 영유권을 뒷받침하는 역사적 사료인 세종실록 지리지, 조선국 교제 시말 내탐서, 대한민국 칙령 제41호 등의 문헌을 자연스럽게 익히게 되어 나도 한 명의 '독도 역사 지킴이'가 될 수 있었다.
.png)
◆ 대한민국의 과거, 현재, 미래를 잇는 독도
'디지털 독도체험관'은 단순한 교육 자료를 넘어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독도의 역사와 중요성을 배울 수 있도록 설계된 혁신적인 플랫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독도는 우리에게 주어진 소중한 유산이며, 그 가치를 지키는 일은 과거를 배우고 미래를 준비하는 첫걸음이다.
독도를 향한 우리의 관심과 애정으로 오래도록 이어지길 바란다.
'디지털 독도체험관' 덕분에 독도가 우리 땅인 확실한 근거를 자신 있게 말할 수 없었던 나도 이제는 당당히 답할 수 있게 되었다.
언젠간 직접 독도의 땅을 밟고, 그 바다의 향기를 깊이 느끼며 "독도는 우리 땅!"이라고 외칠 그 순간을 꿈꾸어본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편수정 sujungai1110@gmail.com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역대 최악의 산불, '고향사랑기부제'로 돕는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