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은 물과 토양을 정화하고, 꽃가루를 옮겨 식물이 열매를 맺게 하며, 먹이사슬의 핵심 고리로서 생태계를 지탱한다.
또한 미래 식량 자원과 산업 소재로서도 잠재력이 크다.
9월 7일은 곤충의 날이다.
이날은 2019년에 제정됐으며 곤충이 지닌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고, 자칫 징그러울 수 있는 곤충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하기 위해 제정됐다.
.jpg)
국립과천과학관에서 곤충의 날을 맞아 9월 2일부터 10월 26일까지 곤충생태관에서 기획전 '잠자리를 따라가면 보이는 것들'을 개최한다.
기자도 기획전에 찾아가 기후변화로 달라지는 곤충의 삶을 소개하며 생태계의 소중함과 탄소중립의 중요성을 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jpg)
국립과천과학관 속 곤충생태관에 입장.
전시는 약 4억 년 전부터 오늘날까지 이어져 온 곤충의 역사를 소개한다.
단단한 외골격으로 자신을 보호하고 탈바꿈이라는 전략으로 환경 변화에 적응해 온 곤충은 현재 지구에서 가장 다양한 생물군이다.
.jpg)
.jpg)
그러나 적응력이 뛰어난 곤충일지라도 기후변화 문제에는 속수무책이다.
기온 상승으로 서식지를 잃거나 떠나면서 개체 수가 줄어드는 현상이 속출한다.
전시는 곤충의 모습을 인류를 위한 경고로 해석한다.
.jpg)
.jpg)
곤충의 변화는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8종으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먹그림나비, 푸른큰수리팔랑나비, 무늬박이제비나비 푸른아시아실잠자리는 더 따뜻한 지역을 찾아 북상하며 서식지를 옮겼다.
말매미와 넓적배사마귀는 기후변화에 빠르게 적응해 서식지를 오히려 확장하고 있다.
반면, 큰그물강도래, 철써기는 기온 상승에 적응하지 못하며 생존 위기를 겪고 있다.
.jpg)
이미 멸종위기종에게는 더욱 심각한 문제다.
붉은점모시나비는 조선시대 그림에도 나올 정도로 흔하고 익숙한 곤충이었지만 먹이식물이 줄어들면서 한반도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한국 고유종인 한국꼬마잠자리는 수온 상승으로 유충의 생존율이 감소해 멸종 위기에 놓였다.
특히 고유종이기에 한반도에서 사라지면 전 세계에서도 완전히 사라져 더욱 중요한 생물이다.
.jpg)

이처럼 곤충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기후변화의 원인은 온실가스 배출이다.
온실가스는 쉽게 사라지지 않고 지구의 온도를 계속 상승시킨다.
기온 상승은 해수 온도와 해수면 상승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인류는 탄소중립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탄소중립이란 온실가스 배출을 최대한 줄여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뜻한다.
기업뿐만 아니라 우리도 일상속에서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다.
대중교통 이용, 다회용품 사용, 대기전력 차단 등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기후 행동 방안을 제시하며 전시는 마무리된다.
기자는 이번 전시를 보며 곤충을 통해 기후변화 위기가 생태계를 넘어 인간에게까지 영향이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왔다.
우리가 지켜야 할 지구의 미래를 다시금 떠올리고 일상에서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전시는 10월 26일까지 이어지니, 초등학생 1~3학년을 포함한 가정이 있다면 남은 자리를 확인한 후 관람하길 권한다.
☞ (보도자료) 국립과천과학관, 곤충의 날 기념 기획전 개최
☞ 국립과천과학관 공지사항 확인하기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군산항 여객터미널, 20년 만에 부활한 이유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