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치매국가책임제 4년···중증 치매 7만4천 명 혜택

2021.09.16 KTV
글자크기 설정
목록

박천영 앵커>
오늘은 '치매 극복의 날'입니다.
지난 2017년 치매국가책임제 발표 이후, 4년이 지났는데요.
제도 도입으로, 7만4천 명의 중증 치매환자가 혜택을 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영은 기자가 지난 시간을 짚어봤습니다.

최영은 기자>
정부가 치매국가책임제 추진계획을 발표한 지 4년.
지난달 국민대상 설문조사 결과 제도가 도움이 된다는 답변이 83%를 차지하면서, 제도가 치매 정책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제도 도입 이후 약 7만4천 명의 중증 치매 환자가 혜택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선 관련 의료비가 크게 줄었습니다.
4년 전 최대 60% 수준이었던 의료비 본인 부담률이 건강보험제도 개선을 통해 10% 수준으로 낮아졌습니다.
1인당 평균 126만 원이었던 의료비가 54만 원으로 줄어든 겁니다.
신경인지검사, MRI 등 치매 진단을 위한 검사도 건강 보험을 적용해 검사에 대한 비용 부담도 크게 완화됐습니다.
장기 요양에 대한 비용 부담도 줄었습니다.
지난 2018년 장기요양에 대한 본인 부담 경감 대상자와 경감 폭이 크게 확대돼, 올해 기준 31만 명이 혜택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녹취> 권덕철 / 보건복지부 장관
"경증 치매 환자의 경우 장기 요양 혜택을 볼 수 있도록 인지지원등급을 신설했고, 장기요양 비용도 크게 인하했습니다."

정부가 전국 256개 시군구에 설치한 치매 안심센터도 치매 환자와 가족에게 큰 도움이 되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전체 치매 환자의 절반 이상으로 추정되는 47만 명의 치매 환자가 안심 센터에 등록돼 진단과 예방 활동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보호자에게도 치유와 교류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고, 돌봄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해 큰 만족을 이끌고 있습니다.
또 치매안심센터의 조기 검진을 통해 18만 명이 치매를 조기에 발견해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진행했습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치매에 대한 연구 개발 사업에도 지난해부터 9년 간 2천억 원을 투입합니다.
지난해 출범한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을 통해 치매 원인 규명과 치료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도 그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치매 환자 중심의 정책을 강화해 나가는 한편 치매 안심 병원과 같은 치매 인프라를 확충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14회 치매 극복의 날을 맞아 열린 기념식에서는 주진형 강원도광역치매센터장을 비롯해 치매 극복을 위해 헌신한 13명에 대해 포상이 수여됐습니다.

KTV 최영은입니다.

(영상취재: 박상훈, 김태우 / 영상편집: 오희현)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전다음기사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