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민주시민의식이 ‘개발도상국수준’이라고 응답하고, 후진국 수준으로 보는 수도 21.2%나 됐다. 선진국으로 답한 쪽은 9.2%에 불과했다.
선진국 진입을 노리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 상황에서 국민 각자의 민주시민 의식이 시급함을 국민들 스스로가 절감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이같은 사실은 공보처가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 지난 9월7일 전국의 20세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민주시민의식 교육’에 대한 전화여론조사에서 밝혀졌다.
그 밖에 문항별 응답 개요를 보면 첫째 우리나라 국민은 개인의 이익보다는 국민전체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 자신의 이익이 희생되더라도 국민 전체의 이익이 중요하다’는 응답이 61.1%로 ‘국민전체의 이익보다는 내 자신의 이익이 우선이다’는 응답 38.9%보다 높게 나타났다.
국민전체의 이익이 더 중요하다는 응답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20대 44.3%,30대 66.0%,40대 69.7%,50대 이상 70.0%로 연령이 낮을수록 공공의식이 희박함을 보여준다.
둘째,우리 국민들은 민주시민사회 건설의 초석인 시민 각자의 사회단체 활동에 대해 아직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하고 있거나 앞으로 참여하고 싶은 단체가 ‘있다’는 응답이 39.5% ‘없다’는 60.5%로 참여 의사가 없는 국민이 더 많았다. 참가하고 싶다는 응답자만을 대상으로 참가하고 싶은 단체를 물어본 결과 ‘봉사단체’라는 응답이 55.3%로 가장 많았다.
지역 크기별로 ‘있다’는 응답을 살펴보면 대도시가 41.2%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중소도시 39.8%, 읍·면 35.7%로 지역크기가 클수록 사회단체에 관심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민주시민의식 교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주도집단으로는 ‘시민단체’(29.7%),‘언론매체’(27.5%), ‘정부’(27.2%) 순으로 꼽았다.
그런데 각 집단간에 응답률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특별한 주도집단을 꼽지는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우리 국민 69.7%는 학교에서 배운 민주시민 의식교육에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교육과정에서 민주시민의식 교육에 대한 연구·개선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다섯째, 민주시민의식 교육의 여러 항목 중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으로 ‘공공질서, 예의, 환경질서 등 기본 질서교육’이라는 응답이 28.3%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론 ‘인간의 존엄성’(22.5%), ‘대화와 토론, 타협 등 민주주의 의사결정 방법’(20.7%), ‘협동,희생 등 공동체 의식’(11.0%), ‘국가관 및 준법질서’(9.2%), ‘자율과 경쟁의 사회원리’(7.6%)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학교교육 이외에 민주시민 의식 교육을 실시하는 과정이 있다면 수강할 의사가 ‘있다’는 국민이 76.7%로 ‘없다’는 국민 11.1%보다 월등히 많았다.
이를 통해 우리국민들은 민주시민교육에 대해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곱째,우리 국민의 63.2%는 ‘현장참여, 봉사교육’을 통한 실천적 교육 방법이 민주시민의식 교육에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꼽았다.
그 다음으로는 ‘대화와 토론식 교육’(33.7%) 이었고, ‘이론위주의 전달교육’은 3.2%에 그쳤다.
여덟째,대다수의 국민은 민주시민 의식 교육이 사회적 이념 갈등과 집단이기주의의 해소 그리고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사회적 이념갈등과 집단이기주의 해소에는 80.1%가 ‘기여한다’, 국가경쟁력 강화에는 87.0%가 ‘기여한다’고 각각 응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