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신(新) 한국인(韓國人)]“한국의 페스탈로찌가 꿈”

‘상록 야학(夜學)’ 운영 …17년간 불우 청소년 지도

1993.07.01 국정신문
글자크기 설정
목록

오늘도 최대천(崔大天)(45·서울시 도로시설과 지방행정주사)는 도로관련 소송업무로 정신없이 하루를 마치고 체구의 절반만한 가방을 들고 ‘상록야간학교(동대문구 휘경동)’로 부랴부랴 발걸음을 옮겼다.

崔씨는 올해로 17년째 어려운 청소년들을 배움의 길로 이끌고 있다.

지난 75년 공직생활을 시작한 것과 때를 같이해 ‘상록야학'을 설립. 지금까지 두 가지 일을 모두 거의 완벽하게 해내고 있다.

현재 崔씨가 서울시에서 맡은 일은 서울시내의 도로·육교·교량· 등의 관리에 필요한 물품을 구매해 주는 일과 도로 관련 소송민원을 처리 하는것.

崔씨가 야학에 발을 들여놓게 된 것은 이문1동사무소 근무시절 관래 중랑천 주변 무허가 판자촌 구역의 사회담당을 맡고부터.

당시 철거작업이 한창이었던 이곳에는 생활고(生活苦)때문에 학업을 중도에 포기해야 하는 청소년이 많았다고.

“공장에서 막 돌아온 지친 몸이었지만 모르는 것을 하나 하나 깨우쳐 가며 즐거워 하는 학생들의 모습에서 보람을 느꼈습니다.”

崔씨는 야학을 계속하는 동안 갖은 설움을 겪어야 했다.

그러나 崔씨는 그간의 시련을 꿋꿋이 이겨낸 결과 3천여명의 졸업생을 배출해낼 수 있었다.

“야학사람들은 모두 내자식 내형제나 다름없지요. 야학은 이젠 내 가정입니다.”

혹시나 야학에 소홀해질까를 우려하여 그는 불혹(不惑)이 넘어선 나이에도 총각신분이다.

봉급의 절반이상을 매달 야학운영비로 내놓는 崔씨는 만약 결혼 할 경우 솔찮게 드는 생활비 때문에 야학유지가 힘들것이라는 생각 때문이다.

그는 또 학생들의 개인신상 문제에도 만사를 제쳐 놓는다. 때로는 장사하다 부도를 내 실의에 빠져있는 졸업생들의 인생상담역을 자청, 재기할 수 있도록 힘쓰기도 한다.

요즘 그는 나이에 걸맞지 않게 주례선생님까지 겸하고 있다. 야학을 거친 졸업생들의 결혼주례만도 70회정도 서왔다고.

우리 사회의 기쁨과 아픔을 함께하는 崔씨는 ‘한국의 페스탈로찌'가 꿈이라고 말하면서 “야학 교사생활을 하고 있지만 야학이 없어지는 것이 소원”이라고 덧붙였다.

崔씨는 모든 사람이 자신의 위치에 서서 열심히 노력하면 모두가 더불어 잘사는 신한국이 반드시 찾아올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다.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