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가로수 은행열매 악취 해결, 기술이전으로 빨라진다

2018.03.20 산림청
글자크기 설정
목록
가로수 은행열매 악취 해결, 기술이전으로 빨라진다
- ‘은행나무 성감별 DNA 분석기술’ 민간기업 이전으로 분석수요 충족 기대 -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이창재)이 은행나무의 암나무와 수나무를 조기에 구별할 수 있는 ‘은행나무 성감별 DNA 분석기술’을 민간기업인 ㈜한국유전자정보연구원에 기술이전했다고 밝혔다.
  ○ 국립산림과학원은 2011년 이 기술을 개발하고 가을철 열매 악취 문제로 인해 수나무 가로수를 심고자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성감별 분석 요청에 대한 기술 지원을 해왔다.
  ○ 하지만 2016년부터 분석요청이 3배 가까이 증가하면서 자체적으로 기술지원 수요를 충족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 이번 기술이전으로 증가하는 지방자치단체의 가로수용 은행나무 암?수구별 분석 수요를 충족시켜 매년 반복되는 은행열매의 악취문제를 본격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은행나무는 도심의 열악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고 가을철 노란 단풍이 아름답기 때문에 가로수로 인기가 높아 전국에 있는 가로수 중 가장 많은 약 30%(약 100만 그루)를 차지하고 있다.
  ○ 은행나무는 꽃(암꽃과 수꽃)이나 열매를 확인하기 전에는 암?수를 구별하기 어려운데 꽃이 피고 열매가 열리는 데까지 최소 15년에서 길게는 30년 가까이 걸리기 때문에 그 동안 암?수의 구분 없이 가로수로 심었졌고 매년 가을 암나무에서 떨어진 은행열매로 인해 악취 및 거리오염 문제가 발생했다.
□ 국립산림과학원은 가을철 암 은행나무에서만 열리는 은행열매의 악취와 거리 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2011년 국내 최초로 은행나무 성감별 DNA 분석기술을 개발했다.
  ○ 이 기술을 적용하면 손톱 크기만 한 은행나무 잎으로도 DNA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1년생 은행나무에서도 암나무와 수나무를 빠르게 구별할 수 있다.
  ○ 이 기술은 2014년에 국내 특허 등록이 완료됐으며, 2015년에는 중국에 국제 특허로 등록돼 은행의 최대 생산국이자 원산지인 중국보다 우위 기술을 선점하는 쾌거를 이룬바 있다. 
□ 산림생명정보연구과 이제완 박사는 “성감별 DNA 분석법을 적용하면 은행열매의 악취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어린 묘목 단계에서 수나무는 가로수용으로 관리하고, 암나무는 열매 생산용으로 관리하면 은행나무의 활용과 생산 효율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기술이전이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이 자료는 산림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참고] “정부 민자도로 재정전환은 민간기업 아이디어 가로채기” 보도 관련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