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중국 상표브로커 무단선점 대응 조기경보시스템 가동 확대

2018.03.22 특허청
글자크기 설정
목록
해외 상표브로커 무단선점 대응 조기경보시스템 가동 확대
- 중국 외에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 지역까지 순차적으로 확대 -

# 한국지식재산보호원은 해외 상표브로커 조기경보시스템을 운영하던 중, 의류 및 액세서리 전문 중소기업인 A사의 상표가 해외 상표브로커에 의해 선점되어 출원 중인 것을 파악하여 해당기업에 통보했다.
당시 A사는 한류 등의 영향으로 해외 매출이 늘어나자 해당 국가에 직접 진출하기 위해 준비 중이었으며, 그 즉시 ‘K-브랜드 보호 컨설팅’ 지원 사업을 신청하여, 현재 해당국가에 상표브로중국 상표브로커 무단선점 대응 조기경보시스템 가동 확대커를 상대로 이의신청을 진행 중이다.

특허청(청장 성윤모)은 해외 상표브로커에 의한 우리기업 상표의 무단선점에 대응하기 위해 작년부터 운영해 오던 “조기경보시스템”을 더욱 확대하여 운영한다고 밝혔다.

조기경보 모니터링 대상 국가를 중국어 권역에 홍콩까지 포함시키고, 베트남·태국 등 동남아 국가들까지 순차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기존에 한글상표로 제한되었던 조기경보 대상 언어도 중문 및 영문 상표로까지 확대하여, 무단선점 현황 정보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제고하기로 했다.
특허청은 작년부터 해외 상표브로커에 대한 “조기경보시스템”을 도입하여, 해외에서 우리기업 상표의 무단선점 여부를 상표 등록 전에 발견, 해당기업에 통보함으로써, 우선권주장·이의신청 등을 이용, 조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조기경보시스템 도입 이후 작년 한 해 동안 251개 기업의 588개 상표가 무단 선점되어 출원 중인 것을 사전 통보받았으며, 중국에서 상표 출원공고 후 3개월 이내에만 가능한 ‘이의신청’ 가능 비율도 36.5%에서 98.2%로 대폭 증가하여 기업의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됐다.

한편, ‘17년 말까지 해외 상표브로커에 의해 무단 선점된 우리기업 상표는 1,820여 건에 달하며, 그 피해액만도 약200여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허청 관계자는 “조기경보 대상 지역이나 대상언어 확대뿐만 아니라, 무단선점 정보의 신속한 획득과 정부지원사업의 효율적인 연계를 통해, 궁극적으로 우리 중소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해외 상표 무단선점으로 인한 피해 상담신고, 대응방법 등은 ‘국제 지재권분쟁 정보 포털’(IP-NAVI, www.ip-navi.or.kr)의 해외 상표브로커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타 자세한 문의사항은 한국지식재산보호원 해외협력팀(02-3473-5896)을 통해 하면 된다.

“이 자료는 특허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정책패키지형 전략으로 ‘신남방의 중심 베트남’ 진출 박차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