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특허청, 아세안과 지재권으로 상생번영을 이끌다

2019.11.19 특허청
글자크기 설정
목록
특허청, 아세안과 지재권으로 상생번영을 이끌다
- 한·아세안 특허청장회의 국내 최초 개최 -

□ 특허청(청장 박원주)은 11월 25일(월)부터 27일(수)까지 서울에서 아세안 10개국 특허청장들과 「2019 한·아세안 특허청장회의」를 개최한다. 아세안 10개국 특허청장들이 한국에서 지재권을 논의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ㅇ 이번 회의는 11월 26일 부산에서 개최되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같은 시기에 개최되는 것으로, 특허청은 이번 한·아세안 특허청장회의의 슬로건을 ‘혁신을 통한 번영, 모두를 위한 번영(Innovation for Prosperity, Prosperity for People)’으로 정했다. 이는 이번 회의가 우리 정부가 추진 중인 新남방정책을 지재권 분야에서 실현하기 위한 것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 첫째 날인 25일에는 2019 한·아세안 특허청장회의를 개최하여, 한국과 아세안 각국 특허청장들이 우수한 특허 창출을 위한 협력방안, 역내 지식재산 보호 및 활용방안 등 상생번영을 위한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ㅇ 둘째 날인 26일에는 아세안과 세계지식재산기구(WIPO) 사무차장 등이 참석하는 ‘적정기술 그랜드 심포지엄’이 개최될 예정이다. 심포지엄에서는 학계, 기업인 등 100 여명이 참석하여 지난 10년간 적정기술 사업성과를 공유하고, 미래 발전방향을 논의한다.

ㅇ 또한, 마지막 날인 27일에는 한국과 아세안의 많은 기업인과 지재권 분야 종사자들이 참여하는 ‘한·아세안 지식재산 거래 박람회(Korea-ASEAN IP Transaction and Transfer Fair)’가 개최된다. 본 박람회에서는 한-아세안 기업 간 기술 거래와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한 강연, 상담 등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 또한, 박원주 특허청장은 한·아세안 특허청장회의를 계기로 방한하는 아세안 10개국 특허청장 모두와 연쇄적으로 특허청장 회담을 진행할 예정이다.

ㅇ 아세안 개별국과의 양자회담은 아세안 전체가 아닌 개별 국가별 지재권 협력을 논의함으로써, 아세안 국가별 맞춤형 지재권 역량 강화를 유도할 예정이다.

□ 이번 한-아세안 특허청장회의 의장을 맡은 박원주 특허청장은 “아세안은 지식재산 무역 거래의 중요한 파트너로서, 이번 회의는 한국과 아세안이 지식재산을 통한 경제협력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 자료는 특허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동정)문성혁 해수부 장관,‘해양수산부 정책자문위원회’개최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