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2019년 CCM 인증서 수여식

2019.12.12 공정거래위원회
목록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1212() 15시에 소비자정책위원회 여정성 민간공동위원장을 비롯하여, CCM 인증 기업 대표 및 임직원, 소비자원 등 관계 인사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소비자중심경영(Consumer Centered Management, CCM) 우수기업 포상 및 인증서 수여식을 개최했다.
 
조성욱 공정거래위원장은 기념사를 통해 수상기업들과 인증기업들의 노고를 치하하면서 소비자가 구매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실제 제조?판매하면서 소비자와 직접 대면하는 기업들이야말로 소비자권익 제고를 위한 최고의 동력임을 강조했다.

또한 소비자중심경영은 기업과 소비자가 상생하고 발전하는 선순환적인 시장을 형성하는 기초가 될 것이며, 공정위는 향후에도 CCM 제도개선 및 제도홍보를 통해 소비자중심경영 문화가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진행된 행사에서는 CCM 운영 성과가 우수한 기업(공공기관 포함 14)과 개인(2)에 대해 포상을 수여하고, 2019CCM을 인증받은91개 기업들(신규 28개사, 재인증 63개사)에 대해 인증서를 수여했다.
 
CCM 우수기업에 대한 포상 수여식 행사는 CCM 인증제도 도입 12년차를 맞아 CCM 인증제도를 홍보하고, 소비자중심경영에 노력하는 기업들의 우수 사례를 발굴하여 공유?확산하기 위해 처음으로 추진되는 행사이다.
 
올해의 CCM, CCM 홍보, CCM 명예의 전당 등 총 3개 부문에서 민간위원들 중심으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거쳐 선정된 11개 기업, 3개 공공기관과 2명의 개인에게 포상이 수여 되었다.
 
특히, ‘올해의 CCM’명예의 전당부문 수상 기업 등은 포상 수여와 함께 우수 인증기업임을 상징하는 ‘CCM 프리미엄 인증마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기업 홍보 및 CCM 인증제도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높아지는 효과가 기대된다.
 
인증서수여식에서는 처음으로 CCM을 도입한 기업 28개사, CCM 운영에 대해 재인증을 받은 기업 63개사 등 총 91개 기업들에 대하여 인증서가 수여되었다.
 
올해 처음으로 CCM 인증을 받은 기업들에는 지방공기업, 면세점, 커피 프랜차이즈, 오픈마켓, 홈쇼핑, 은행 등 다양한 업종의 기업들이 포함되어 CCM 인증제도가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위는 향후에도 소비자권익제고를 위해 CCM 인증제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제도 개선 및 홍보 노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 자료는 공정거래위원회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더 가깝고, 더 편리하고, 더 매력적인 지역관광 문체부와 국토부가 함께 만들겠습니다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윤석열정부 2년 민생을 위해 행동하는 정부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