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제5차 집단에너지 공급 기본계획(안)」공청회 개최

「제5차 집단에너지 공급 기본계획(안)」공청회 개최

2020.02.19 산업통상자원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제5차 집단에너지 공급 기본계획(안)」공청회 개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20.2.19(수) 오후 3시 서울 The-K 호텔에서 관련업계, 학계, 연구계 등 이해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제5차 집단에너지 공급 기본계획(안)('19~'23)」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
 
이번 공청회에서는 「제5차 집단에너지 공급 기본계획(안)을 발표하고,내용에 대해 사업자 및 소비자단체 등의 의견을 청취하였음
 
집단에너지 공급 기본계획은 집단에너지 사업의 발전 및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집단에너지사업법 제3조에 근거하여 수립하는 5년간의 집단에너지 분야 법정 기본계획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집단에너지공급 기본계획」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기본내용을 수립하고, 국가에너지 정책 기본방향 및 그간의 제도개선 건의사항 등을 포함하여 계획안을 마련함
 
제5차 집단에너지 공급 기본계획(안)에서는,
 
‘23년까지 집단에너지 공급목표를 지역난방은 총 408만세대(‘18년 311만세대)로, 업단지 집단에너지는 총 51개(’18년 46개) 사업장으로 확대하는 것으로 설정
 
또한, 집단에너지 공급 기준에 열수송관을 추가하여, 기존 열수송관 미활용열원의 활용을 촉진하고자 하는 내용을 담고 있음
 
* 개발사업지역 인근(1km 이내)에 주 열수송관이 있는 경우 지역지정 검토 가능
 
- 더불어 단열기술 향상에 따른 열사용량 감소 등을 고려, 수도권-비수도권 간의 기준을 통일하는 등 검토기준 현실화 내용도 포함
 
정책적으로는 깨끗하고 안전한 집단에너지 생태계 구축을 위하여,
 
- 노후설비나 벙커C유를 사용하는 열병합발전소의 개체 등을 통해 깨끗한 분산에너지 공급을 추진하고,
 
- 열수송관의 안전관리기준 법제화 및 현장점검을 통한 이중점검체계 구축 등 분산에너지의 안전성 강화를 위해 노력하며,
 
- 지역별 사업설명회를 통해 지역수용성을 제고하고, 원격검침확대·노후계량기 교체 등으로 소비자 편의성을 향상할 계획
 
산업부는 동 계획의 성공적 추진을 통해 ’23년 기준 에너지 3,610만TOE 절감, 온실가스 1억221만톤 감축, 대기환경 오염물질 배출 31.1만톤 감소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음
 
산업부는 공청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수렴·반영하여 「제5차 집단에너지 공급 기본계획」을 2월 중 확정 공고할 계획
 

“이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마을기업이 우리 마을을 살린다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