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우리 바닷속 미세플라스틱, 해양생물에 영향 주지 않는 수준인 것으로 평가

글자크기 설정
목록

우리 바닷속 미세플라스틱, 해양생물에 영향 주지 않는 수준인 것으로 평가
- 해수부, 6년간의 해양 미세플라스틱 환경위해성 연구 결과 발표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우리나라 연안 및 외해역의 해수 및 해저퇴적물에 있는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무영향예측농도*를 초과하지 않아  해양생물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 무영향예측농도(PNEC: Predicted No Effect Concentration): 해당 농도 이하에서는 생물에 미치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추정되는 농도, 환경기준 마련 전 필수적으로 도출하는 농도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전 지구적 환경 문제로 부상함에 따라, 2014년 UN 환경총회에서는 각국이 ‘미세플라스틱 오염?위해성에 대한 국가별 연구개발(R&D)’을 추진할 것을 요구하였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국내 최초로 미세플라스틱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지난 2015년부터 6년간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을 통해 해양에서의 미세플라스틱 오염 수준을 연구하고 환경위해성을 평가하였다.

 

  연구진은 실제 바닷물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미세플라스틱 입자의 크기(20-300㎛)와 파편형, 섬유형(구형 제외) 등의 형태를 고려하고, 국내외 문헌에 기록된 미세플라스틱의 독성자료를 기반으로 무영향예측농도를 ‘12n/L(12,000n/m3)*’로 도출하였다. 이후,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연안 96개 정점(363개 시료) 및 외해역 22개 정점(102개 시료)의 바닷물을 채취하여 미세플라스틱 농도**를 측정한 결과, 해당 농도가 무영향예측농도를 초과하지 않으며 해양생물에 영향을 주는 수준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 1L당 미세플라스틱 입자의 개수(1㎥당 미세플라스틱 입자의 개수)
** 해양환경공단에서 수행 중인 2020년 전국 연안 미세플라스틱 모니터링 자료 포함(50개 정점, 200개 시료)

 

  해저퇴적물의 경우는 관련 독성자료가 제한적이라 시범적으로 무영향예측농도 ‘116,000n/kg’을 도출하고,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우리나라 모래해안(23개 정점), 조하대*(65개 정점), 외해역(21개 정점), 투기장 해역(11개 정점) 등 총 120개 정점의 표층퇴적물에서 미세플라스틱 농도(20-5000㎛)를 측정하여 오염도와 환경위해성을 평가하였다.

 * 간조선에서 수심 40∼60m까지의 연안구역

 

  그 결과, 투기장 해역 1개 정점을 제외한 모든 조사 정점에서 무영향예측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초과된 1개 정점은 농도가 134,590n/kg으로 조사되었는데, 대부분 과거에 배출된 하수종말처리장 슬러지로 인한 오염인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2012년 이후 이 구역에 슬러지 배출이 금지되었으며, 이러한 환경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붉은대게 조업도 해당 해역에서 금지되어 향후 농도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나,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조사 결과를 종합해보면 현재 우리나라 연안과 외해역에서의 바닷물 및 해저퇴적물의 미세플라스틱 농도는 해양생물에 영향을 주는 수준 이하인 것으로 보이나, 향후 플라스틱 쓰레기에 대한 관리 없이 사용량이 계속 증가할 경우 2066년에는 바닷물의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무영향예측농도를 초과하는 지역이 연안 10%, 외해 0.6%(퇴적물 7.9%)로 증가하고, 2100년에는 연안 82%, 외해 22%(퇴적물 24%)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양 미세플라스틱의 국내외 해양 위해성 평가기준은 현재까지 없으며,  미세플라스틱의 측정·분석 방법도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 때문에, 이번 연구는 국내 최초의 해양 미세플라스틱 오염 실태조사와 환경 위해성 평가를 통해 미세플라스틱 관리의 필요성을 과학적으로 제시하고, 향후 해양 미세플라스틱 저감 연구를 위한 기틀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한편, 해양수산부는 지난 5월 ‘제1차 해양폐기물 및 해양오염퇴적물 관리 기본계획(2021∼2030)’을 수립하고 해양플라스틱 쓰레기의 발생량을 2030년까지 60% 저감, 2050년까지 제로화한다는 목표를 발표하였다. 기본계획에 따라, 해양플라스틱의 주요 발생원인이 되는 유실 어구?부표 등에 대한 관리를 대폭 강화*하고, 하천으로 유입되는 육상쓰레기 차단, 수거·처리 체계 개선 등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친환경부표 100% 보급, 어구·부표 보증금제, 어구실명제, 어구일제회수제 도입 및 친환경부표 법적 의무화 등

 

  윤현수 해양수산부 해양환경정책관은 “미세플라스틱을 포함한 해양플라스틱 쓰레기를 저감하기 위한 다양한 정부의 대책이 차질 없이 수행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며, “앞으로 미세플라스틱이 해양생태계로 유입되어 이동?축적되는 과정을 밝히고, 국내 서식종을 기반으로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환경권고 기준을 마련하는 후속 연구도 추진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이 자료는 해양수산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불법·비보고·비규제(IUU) 어업, 이제 발붙일 곳 없다!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