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초대형선, 자율운항선박 등 최신 해양안전현안 살핀다

2021.11.01 해양수산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초대형선, 자율운항선박 등 최신 해양안전현안 살핀다

- 중앙해양안전심판원, 36차 민?관 합동 해양사고방지 세미나 개최 -

 

  해양수산부 중앙해양안전심판원(원장 이경규)1111()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한국해운협회 등 18개 해양수산 단체와 함께 36해양사고방지 세미나를 개최한다.

 

  1986년부터 35년간 개최되어 온 해양사고방지 세미나는 그간 해양사고 동향, 해상교통 안전관리, 선원?선박관리 등 해양수산 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현안에 대한 개선방안을 논의함으로써 해양수산 종사자의 안전의식 제고와 해양사고 방지에 기여해 왔다.

 

  올해 세미나는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40명 내외의 전문가 및 ?단체 관계자가 현장에서 참여하는 대면방식과 온라인 비대면방식을 병행하여 진행한다. 온라인 세미나에 참여를 원하는 사람은 115()까지 해양사고방지 세미나 누리집(http://www.maritimesafetyseminar.org)에서 사전등록을 하면 되며, 세미나 중에 댓글 기능 등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질의응답을 할 수 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대형 컨테이너선의 접?이안 조선(조종)과 항만안전, 자율운항선박 관련 최신 해사동향, △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관련 양수산 분야 준비 경과, 해양사고 분석을 통한 어선 인명피해 저감 방안에 대한 주제발표가 진행된다.

  주제발표에 이어, 한국선장포럼 김영모 사무총장을 좌장으로 대학 교수, 정부 관계자 등 전문가들과 온?오프라인 참석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합 토론도 진행될 예정이며, 모든 행사과정은 해양사고방지 세미나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으로 생중계된다.

 

  한편,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은 작년부터 해양사고방지 세미나 공식 누리집에 관련 자료를 올려 세미나에 직접 참여하지 못한 사람도 논의된 내용들을 확인하고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경규 중앙해양안전심판원장은 해양사고방지 세미나는 빠르게 변화하는 해양안전 여건에 대비하여 매년 새로운 현안을 발굴하고 함께 개선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해양수산 종사자들의 사고예방 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해 왔다.”라며, “초대형 선박의 운항 증가, 자율운항박의 대두 등 해양안전 여건이 시시각각 변화하고 있는 만큼, 안전한 바다를 만들기 위해 관계기관과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해양사고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이 자료는 해양수산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보도자료] 조세심판원 3분기 주요심판결정례 공개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