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국영문 동시배포) 경주 쪽샘 44호분(신라 공주묘)에서 비단벌레 꽃잎장식 직물 말다래 최초 확인
피장자인 10대 공주의 머리꾸밈새와 화려한 직물도 주목... 성과 시사회(7.4. 오전 11시, 오후 3시)
- 첨부파일
-
-
(국영문 동시배포) 0704 The First Identification of a Fabric Mudguard Decorated with Flower Petals with Jewel Beetles at Tomb no. 44 in JJoksaem, Gyeongju.docx 다운로드 바로보기
-
(국영문 동시배포) 0704 경주 쪽샘 44호분(신라 공주묘)에서 비단벌레 꽃잎장식 직물 말다래 최초 확인(붙임).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
(국영문 동시배포) 0704 경주 쪽샘 44호분(신라 공주묘)에서 비단벌레 꽃잎장식 직물 말다래 최초 확인(본문).hwpx 다운로드 바로보기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황인호)는 2014년부터 추진한 경주 쪽샘지구 신라고분 44호 돌무지덧널무덤에 대한 정밀발굴조사와 과학적 연구·분석을 통해 ▲ 비단벌레 꽃잎장식 직물 말다래, ▲ 피장자의 머리 꾸밈새, ▲ 금동제 장신구에 사용되었던 직물 등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 돌무지덧널무덤: 적석목곽묘(積石木槨墓)라고 하며 나무로 짠 곽 주변에 돌을 쌓고 봉분을 조성한 신라 특유의 무덤
* 비단벌레: 딱정벌레목 비단벌레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금록색 광택이 나는 성충의 앞날개를 이용하여 각종 장식에 사용, 신라 고분 중 최고 등급 무덤에서만 확인된다.
* 말다래: 말 탄 사람 다리에 흙이 튀지 않도록 안장 밑에 늘어뜨리는 판
쪽샘 44호분은 실 발굴일수 1,350일이라는 기나긴 조사과정을 통해 돌무지덧널무덤의 전체 구조와 축조 공정을 복원할 수 있었고, 보존과학, 의류직물학, 토목공학, 지질학 등 여러 학문과 협업한 연구 성과와 이를 토대로 새로운 연구 성과가 밝혀져 더욱 의미가 있다.
먼저, 2020년 발굴조사 당시 주인공의 머리맡에 마련된 부장 공간에서 수백 점이 확인된 비단벌레 금동장식에 대한 오랜 기간의 분석·연구 끝에 비단벌레 날개로 장식한 죽제(竹製) 직물 말다래의 일부임을 확인하였다.
말다래는 대나무살을 엮어서 만든 바탕 틀(크기 80×50㎝)의 내면(마직물 1장)과 외면(마직물, 견직물 등 3장)에 직물을 덧대고 그 위에 비단벌레 날개로 만든 금동 심엽형(心葉形, 나뭇잎 모양) 장식과 금동 영락(瓔珞, 달개) 장식, 금동 대(帶) 등을 배치하였다. 심엽형 장식은 금동판에 비단벌레 딱지날개 2매를 겹쳐 올리고 그 위에 다시 금동주연대(周緣帶)를 올린 후, 실로 고정하여 제작하였다. 1점의 영락 장식에 4점의 심엽형 장식이 결합하여 꽃잎모양을 구성하였고, 이러한 꽃잎모양 50개가 말다래에 각각 부착 되어 있어 당시 찬란했던 신라 공예기술의 진면목을 엿볼 수 있다.
* 금동주연대: 둘레의 가장자리를 장식하는 금동판
또한 2020년 금동관 주변에서는 폭 5㎝의 유기물 다발과 다발을 감싸고 있는 직물흔이 발견되었다. 분석 결과 유기물 다발은 피장자의 머리카락으로 확인되었다. 머리카락을 감싼 직물의 형태를 통해 머리카락 여러 가닥을 한 데 묶은 머리모양 꾸밈새도 추정할 수 있었다.
금동관, 금동신발, 말띠꾸미개 등 금동제품에 사용되었던 직물도 발견되었다. 분석결과 금동관 내부에서는 마직물(麻織物), 견직물(絹織物) 등 다양한 직물이 확인되었고, 특히 홍색(꼭두서니 염색), 자색(자초 염색), 황색(원료 미상) 3가지의 색실을 사용한 삼색경금도 보인다. 또한 금동신발에서는 가죽, 견직물, 산양털로 만든 모직물(毛織物) 등이 확인되었으며, 뚫음무늬 사이로 금직물의 색상이 드러나는 화려한 모습이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해당 직물들은 실물자료로는 최초로 확인된 것이 많아 앞으로 직물 연구사에도 중요 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 말띠꾸미개(雲珠): 말에 사용된 가죽끈을 서로 묶어 연결하여 말을 장식하는 장식구
* 꼭두서니: 주황색의 살찐 뿌리를 가진 여러해살이 덩굴풀
* 자초: 말린 지치 뿌리
* 삼색경금(三色經錦): 3가지 색실을 사용하여 무늬를 나타내는 직물로 숙련된 기술과 시간이 필요하여 최상위계층 고분에서만 확인된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7월 4일 오전 11시, 오후 3시 총 2회에 걸쳐 서라벌문화회관(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그간의 조사 성과를 총망라하는 발굴조사 성과 시사회를 개최하며, 7월 4일부터 7월 12일까지 쪽샘유적발굴관에서 보존처리를 마친 유물을 출토 당시의 모습으로 재현하여 공개한다.
7월 4일 개최되는 발굴조사 성과 시사회에서는 발굴조사 및 융복합 연구 관련 영상과 함께 실제 유물과 재현품을 관람하고, 발굴조사 담당자에게 관련 내용에 대해 질문하고 답을 듣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문화재청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시청이 가능하다.
* 행사장소 : 서라벌문화회관(경주시 금성로 236) 대강당
* 문화재청 유튜브 채널 : https://www.youtube.com/chluvu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앞으로도 정부혁신과 적극행정의 하나로 발굴성과와 유물의 출토·보존처리 과정을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다양한 체험 행사를 통해 문화유산의 가치를 국민과 나눌 것이다.
The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the GNRICH, Director Hwang In-ho) unde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as conducted detailed excavations, scientific research and analysis of a wooden chamber tomb with a stone and earth mound* in Silla ancient tomb no. 44 located in the Jjoksaem district of Gyeongju since 2014. During this investigation, several significant artifacts were discovered, including a fabric mudguard decorated with flower petals with buprestidae*, the hairstyle of the buried individual, and fabrics used for gilt-bronze ornaments.
* Wooden chamber tomb with a stone and earth mound: It is a unique tomb of Silla called a stone-mounded wooden chamber (積石木槨墳), where stones are piled up around a wooden chamber and then a burial mound is created.
* Buprestidae: It is known as jewel beetles and belong to a family of beetles. The forewings of adult beetles have a glossy golden-green color, which made them ideal for various decorative purposes. These wing decorations have been discovered only in the tombs of the highest-ranked individuals among Silla tombs.
The entire structure and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tone-mounded wooden chamber in the tomb no. 44 at Jjoksaem were able to be restored through an intensive 1,350-day excavation. Moreover, this investigation holds greater significance as new research results have been generated through collaborative research with various fields such as conservation science, fashion and textiles, civil engineering, and geology during this period.
Initially, in 2020, hundreds of gilt-bronze ornaments decorated with jewel beetles were found in an area, where grave goods were left, near the head of the deceased. After an extensive period of analysis and research on these adornments, it was determined that they are part of the mudguard, a bamboo fabric (竹製) adorned with the wings of jewel beetles.
The mudguard consisted of a woven bamboo outer frame (approximately 80 x 50 cm) with its interior covered in hemp cloth and three layers of hemp cloth and silk fabrics on the exterior. Additionally, a fabric was added on top of them. The fabric was adorned with gilt-bronze leaf-shaped (心葉型) decorations featuring the wings of jewel beetles. Gilt-bronze hanging accessories (瓔珞) and thin, flat gilt-bronze plates(帶) were arranged on the fabric. The leaf-shaped ornaments were crafted by overlapping two wings of the jewel beetles on a gilt-bronze plate. An additional gilt-bronze plate attached to the edges of the wings for decorative purposes, secured with threads (周緣帶). Four leaf-shaped ornaments were combined with a hanging accessory to create a flower pattern. A total of 50 pieces of these flower patterns were individually attached to the mudguard. These techniques exemplify the exceptional craftsmanship of Silla during that time and demonstrate the true value of their brilliant artistry.
In 2020, a trace of fabric was discovered near a gilt-bronze crown. The fabric was found to cover a 5cm-wide bundle of organic matter. Upon analysis, it was determined that the bundle of organic matter was the individual’s hair. The shape of the fabric wrapped around the hair indicated a hairstyle of the time, where several strands of hair were tied together.
Fabrics used for gilt-bronze products such as gilt-bronze crowns, gilt-bronze shoes, and horse ornaments were also identified. The analysis revealed various fabrics inside the gilt-bronze crown, which were identified as hemp (麻織物) and silk (絹織物) fabrics. A weaving technique called *Samsaik-Kyeonggeum was observed, and involves using three colors of thread to create patterns. The colors included red (dyed from a madder plant), purple (dyed from the roots of purple gromwell, Lithospermun erythrorhizon), and yellow (unknown ingredient). Furthermore, leather, silk, and wool fabric made of goat’s hair were discovered in the gilt-bronze shoes. The colorful fabrics, visible through the openwork of the shoes, suggest that the gilt-bronze shoes must have been splendid in appearance. This discovery marks the first time a significant number of fabrics have been found as actual materials, and they are expected to serve as important data for future textile research.
* Samsaik-Kyeonggeum (三色經錦): This is a fabric that displays patterns using three colors of thread and requires skillful techniques and time to create. It is typically found only in the tombs of high-ranking individuals.
The GNRICH will hold a preview of the research result film at the Seorabeol Cultural Center (Gyeongjusi, Gyeongsangbukdo) on July 4th at 11:00 am and 3:00 pm. Furthermore, restored artifacts will be exhibited, recreating the excavation scene as they were discovered from July 4th to July 12th at the Jjoksaem excavation hall.
At the excavation research result film preview hold on July 4th, attendees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view actual artifacts and reproductions, as well as watch films related to excavation and convergence research. Moreover, there will be a Q&A session with the person in charge of the excavation. For those unable to attend in person, the event can also be watched in real time through the YouTube channel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Venue: Seorabeol Cultural Center Hall (Geumseongro 236, Gyeongju City)
YouTube Channel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ttps://www. Youtube.com/chluvu
The GNRICH, unde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s committed to sharing the excavation achievements, as well as the processes of excavation and conservation, in real time. This is in line with the government’s focus on innovation and active administration. Moreover, the GNRICH aims to share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with the public through various experiential events.
< 경주 쪽샘 44호분 비단벌레장식 말다래 재현품 >
“이 자료는 문화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문화재청, 제2대 역사문화권정비위원회 위원 위촉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5월 정기분 근로·자녀장려금 신청
-
9월까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매주 환급…취약상권 살린다
-
국세청 원클릭 환급, 직접 해봤습니다
-
7월까지 추경 12조원 70% 이상 집행…소상공인 300만명 이상 지원
-
개인정보위 "SKT, 전체 이용자 대상 1차 유출통지 방침 알려와"
-
복지부 2차관 "AI 신약개발에 정부 지원 아끼지 않을 것"
-
40개 의과대학, 수업불참 '의대생 8305명 유급·46명 제적' 확정·통보
-
전국 84개 전통시장, 수산물 사면 최대 30% 환급
-
2025년 찾아가는 희귀질환 진단지원 사업
-
"아침·저녁·휴일에도 돌봄 제공"…거점형 돌봄기관 시범운영
최신 뉴스
- (동정) 887어진호 침수사고 인명구조에 최선을 다할 것
- 과수화상병 올 첫 발생…긴급 방제확산 차단 총력 대응
- 농촌진흥기관, 경북 산불 피해지역 기술지원, 생육 관리 최선
- 농업 현장 규제 개선 결실 '가축분뇨도 훌륭한 자원으로 재탄생'
-
'광복에서 통일로' 문화로 잇다
-
짚풀이 맛있다? '박미주간'에 재발견한 짚과 풀의 세계
-
웰니스관광지에서 몸과 마음을 치유한 하루
- 지역주도 혁신산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지역중소기업 정책 체계화 방안 논의
- 중소기업소상공인 유동성 보강 위한 '25년도 추경 정책금융 4.2조원 공급
- 초격차 창업기업(스타트업) 지원 성과부터 국제적(글로벌) 혁신성장(스케일업) 전략까지 한자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