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정책오디오 플레이어 영역

재생 구간 탐색
0:00 00:00
들어볼교양?
[‘오디’로 여행갈까] 20화. 고래문화마을 <울산>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1 x
목록

콘텐츠 영역

들어볼교양?

[‘오디’로 여행갈까] 20화. 고래문화마을 <울산>

2024.02.29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글자크기 설정

오늘 소개해드릴 고래문화마을은 바다와 어우러진 아름다운 자연 환경 속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2008년 장생포 고래문화특구로 지정되어, 고래박물관과 울산함, 생태체험관, 4D 체험관, 장생포 모노레일 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어서, 아이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고래문화마을을 방문하면, 한국의 고래사냥에 대한 역사와 전통을 살펴보고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데요.
고래문화마을로 시간여행을 함께 떠나볼까요?

☞ 고래문화마을 : 울산광역시 남구 장생포고래로 271-1

고래로 번성했던 장생포의 옛 모습
고래로 번성했던 장생포의 옛 모습

1970~80년대 고래잡이로 유명했던 울산 장생포는 포경이 금지된 1986년까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고래어업 중심지였습니다. 한창때는 20여 척의 포경선이 한 해에 천여 마리의 고래를 잡아올렸는데요, ‘개도 돈을 물고 다닌다’거나 ‘장생포 포수는 울산 군수하고도 안 바꾼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었을 정도로 돈이 넘쳐났다고 합니다.


그런 장생포의 옛 모습을 고스란히 재현한 곳이 고래문화마을인데요, 먼저 장생포 옛 마을은 오래된 잡지 포스터가 붙은 책방에서 자전거포, 다방, 구멍가게까지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골목 풍경들로 가득합니다. 골목 뒤에는 포경선을 탔던 뱃사람들의 집이 조성되어 있는데, 특히 포수의 집 안에는 작살대포와 고래를 해체할 때 사용했던 칼도 전시되어 있죠. 뱃사람들의 집을 돌아 나오면 고래 해체장을 비롯해 고래기름 착유장, 고래고깃집 등을 만날 수 있는데요, 포경이 금지되면서 더는 볼 수 없었던 모습들이 생생하게 눈앞에서 그려집니다.

장생포 옛 마을에서 언덕길을 따라 오르면 고래조각정원이 펼쳐지는데요, 장생포 앞바다를 마주하고 귀신고래, 혹등고래, 밍크고래, 그리고 향고래, 대왕고래, 범고래를 실물 크기로 제작해 정원을 조성했습니다. 이 중 대왕고래는 뱃속으로 직접 들어가볼 수 있어 이색 체험 공간으로 인기가 많다고 합니다.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