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사극이나 영화를 보면 많은 사람이 오가며 소문이 전해지고, 새로운 만남의 장이 되기도 하는 곳으로 주막이 그려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런 조선의 주막에도 현대인들이 사용하는 ‘체크카드’ 시스템이 존재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조선시대에는 먼 거리를 이동할 때 걷거나 말을 타고 이동했는데요. 도시에서 도시로 이동할 때 하룻밤 사이에 도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전국 팔도에는 중심 거리마다 이동객들에게 숙식을 제공하는 주막이 존재했습니다. 이러한 주막의 주인들은 서로 연결되어있는 일종의 길드(guild, 동업자조직) 형태였기 때문에 신용거래가 가능했죠.
1903년, 러시아 작가 바츨라프 세로셰프스키가 조선을 방문해 남긴 기록 ‘코레야, 1903년 가을’에는 이러한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그는 부산에서 서울로 이동하는 여정이었는데, 당시 조선의 화폐는 무거운 엽전이라 여행자금을 환전하니 무게가 약 25kg이나 나갔다고 합니다.
동행한 통역사는 조선 주막의 은행식 체크카드 시스템을 설명해주었습니다.
처음 묵는 ‘ㄱ’주막에서 모든 돈을 영수증으로 교환하고 여행길에 들른 ‘ㄴ’주막에서 영수증을 보여주면, 술과 음식, 숙박비 내역을 그 영수증에 기입해주는 식이었습니다. 여러 주막에서 영수증을 돈처럼 사용한 뒤 마지막으로 들른 ‘ㄹ’ 주막에서는 남은 차액을 돌려받을 수 있는 것이었죠.
하지만 이것을 믿지 못한 세로셰프스키는 환전한 엽전을 몽땅 들고 여행하는 것을 택했는데요. 이내 마을마다 주막이 들어서 있고 영수증으로 지불을 확인하는 시스템이 탄탄하다는 것을 알게 되고 무거운 엽전을 모두 지고 다닌 것을 후회했다고 합니다.
ATM기계와 체크카드만 있으면 어디서든 현금을 인출하거나, 결제할 수 있는 현대인들처럼 120여년 전 조선시대에도 신용화폐, 체크카드 시스템이 있었다니 정말 놀랄 만한 일이죠?
저작권법 제37조
및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