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베이글녀’에서 ‘마더하세요’까지

정재환 방송사회자·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2011.08.11 정재환 방송사회자·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글자크기 설정
목록
1
 
요즘 20대는 알쏭달쏭한 말을 참 많이 쓴다. ‘베이글녀’가 그렇고 ‘개드립’이 그렇다. 얼굴은 아기인데 몸매가 풍만한 여성을 지칭하는 말이 ‘베이글녀’이고, ‘개드립’은 좋지 않는 애드립, 불필요한 애드립, 잘못된 애드립을 뜻한다. 본디 ‘애드립’은 즉흥적으로 하는 대사나 연기를 의미한다. 그래서 애드립이 좋다거나 나쁘다고 얘기한다. 그러나 이 ‘개드립’은 그 말 자체로 ‘나쁜 애드립’이라는 의미라서 개드립이 좋다거나 나쁘다고 얘기하지 않고, 그저 “개드립 치지 마”로 족하다. ‘레알’은 영어 ‘리얼’의 달라진 음으로 ‘정말’이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레알 베이글녀다”, “레알 개드립이다” 등으로 활용한다.

‘버터페이스’라는 말도 있다. 포커페이스하고 비슷하게 생겼다. “쟤도 포커페이스지?”라는 말을 처음 들었을 때는 얼굴이 네모꼴이라는 건가 아니면 만날 도박만 해서 얼굴이 누렇게 떴다는 말일까 궁금했지만, ‘무표정한 얼굴’이라는 영한사전의 설명은 참으로 간단 명쾌했다. 도박을 할 때 어떤 패를 들었는지가 표정에 드러난다면 돈을 딸 확률은 0에 가까울 것이다.

그렇다면 ‘버터페이스’는 뭘까? 좀 느끼한 얼굴을 이야기하는 걸까? “그 남자 잘생기기는 했는데 좀 느끼하지 않니?” 이런 식의 대사가 떠오른다. 하지만 ‘버터페이스’의 뜻은 좀 더 심오하다. 머리도 좋고, 성격도 좋고, 학벌도 좋고, 집안도 좋고, 집에 돈도 많은데 그러나(but) 그녀의(her) 얼굴(face)은 정말 아니야! 그러니까 이 말은 아주 은밀한 외모 차별적 용어다. 그것도 여성에만 국한된. 남녀평등의 원칙에 입각한다면 ‘버티스페이스’란 말도 있어야 한다.

성별을 따지지 않는 용어로 ‘버팀페이스’는 어떨까? 힘겹게 버티는 얼굴! 버터페이스까지 떼면 ‘뉴페’가 ‘뉴 페이스’의 준말이라는 것 정도는 쉽사리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광클’이라는 말 역시 조금만 추리력을 발휘하면 ‘미치도록 클릭한다’는 뜻임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에스엠’이라면 어떨까? 소녀시대와 슈퍼주니어, 동방신기 등을 떠올릴지 모르지만, 에스엠은 ‘스몰 마인드’의 준말이라니 ‘속 좁은 사람’을 일컫는다. 이쯤 되면 개그맨과 탤런트를 합친 ‘개탤맨’ 같은 말은 구닥다리 냄새마저 난다.

한편, 뜻을 알면 마음이 천근만근으로 무거워지는 말도 있다. 청소년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빵셔틀’이란 말은 빵 들고 오락가락하는 아이 즉, 학교에서 힘센 친구들의 강요에 의해 ‘빵 심부름하는 아이’를 뜻한다. ‘빵셔틀’뿐만 아니라 ‘가방셔틀’도 있고, ‘담배셔틀’도 있다니 참으로 슬퍼하지 않을 수 없다.

청소년들의 신·변종 외래어 애용 못지않게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은 국어 줏대를 잃은 정부다. 얼마 전 텔레비전 광고에 등장한 보건복지부 출산장려운동의 문구는 ‘마더하세요’다. 훈훈한 캠페인이라며 좋아하는 사람도 많지만 ‘마더’가 좀 거슬린다. ‘마더하세요’라니 왜 우리나라 여자들이 모두 ‘마더’가 되어야 할까? “마음을 더하세요.”라는 말에서 ‘마’와 ‘더’를 따왔다는 친절한 설명도 구차한 변명으로 들린다. “엄마의 마음으로 마음을 더하세요.”에서 ‘엄’과 ‘마’를 따면 ‘엄마하세요’가 된다. 왜 이렇게는 생각하지 않는 걸까?

1980년대 산아제한이 절실했던 시절의 선전문은 “아들 딸 구별 말고 둘만 낳아 잘 기르자”였다. “둘도 많다 하나만 낳아 잘 기르자”도 있었다. 항간에서는 ‘애는 일생의 짐’, ‘웬수’, “애 낳아 애먹지 말고 둘이서만 잘 살자”는 말도 유행했었다. 당시 출산장려운동은 한 자녀 가정을 급격히 늘렸고, 오늘날 출산을 장려하지 않으면 안 되는 극적인 역전 드라마를 연출하고 있다. 이런 게 바로 말의 힘인데 이런 말의 힘이 변함없이 작동한다면 ‘마더하세요’는 머지않은 장래에 대한민국의 어머니와 엄마를 모두 ‘마더’로 바꿀지 모른다. “야, 너네 마더 정말 예쁘시더라.” “너네 마더야 말로 미코 뺨치시던걸!”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사전에 협의한 이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정책브리핑의 기고, 칼럼의 저작권은 원작자에게 있습니다. 전재를 원할 경우 필자의 허락을 직접 받아야 하며, 무단 이용 시
저작권법 제136조
제136조(벌칙)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11. 12. 2.>
1. 저작재산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재산적 권리(제93조에 따른 권리는 제외한다)를 복제, 공연, 공중송신, 전시, 배포, 대여, 2차적저작물 작성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2. 제129조의3제1항에 따른 법원의 명령을 정당한 이유 없이 위반한 자
②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09. 4. 22., 2011. 6. 30., 2011. 12. 2.>
1. 저작인격권 또는 실연자의 인격권을 침해하여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명예를 훼손한 자
2. 제53조제54조(제90조 및 제98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따른 등록을 거짓으로 한 자
3. 제93조에 따라 보호되는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를 복제ㆍ배포ㆍ방송 또는 전송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3의2. 제103조의3제4항을 위반한 자
3의3.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2제1항 또는 제2항을 위반한 자
3의4.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3제1항을 위반한 자. 다만, 과실로 저작권 또는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 침해를 유발 또는 은닉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자는 제외한다.
3의5. 제104조의4제1호 또는 제2호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자
3의6. 제104조의5를 위반한 자
3의7. 제104조의7을 위반한 자
4. 제124조제1항에 따른 침해행위로 보는 행위를 한 자
5. 삭제 <2011. 6. 30.>
6. 삭제 <2011. 6. 30.>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지방계약제도 선진화 추진방향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