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똑바로 걸어야만 잘 걷는다는 소리 들을까

[손철주의 옛 그림으로 무릎치기] ⑦ 김홍도 ‘게와 갈대’

2013.03.28 손철주 미술평론가
글자크기 설정
목록
옛사람의 글이나 그림에 등장하는 동물을 꼽을 때, ‘게’를 빼놓을 수가 없다. 게는 무엇보다 생긴 꼴이 재미있다. 별명도 무척 많다. 우선, 껍질이 딱딱하고 집게가 날카롭다. 옛 글과 그림에 걸핏하면 ‘용감한 장수’로 묘사되는 이유가 그것이다. 아닌 게 아니라, 껍질은 갑옷에, 집게는 창에 견줄 만하니 병장기를 갖춘 군인처럼 의인화되기에 그럴 듯한 존재다. 조선시대 문인 김시습은 ‘금오신화’에서 게를 ‘곽 개사(郭介士)’라고 이름 지었다. 게가 걸어가는 모양을 본 딴 말이 ‘곽삭(郭索)’인데, 그걸 줄여 ‘곽 개사’라 부른 것이다. ‘곽’은 성곽이나 둘레를, ‘삭’은 얽히고 꼬인 모습을 각각 뜻한다. 다리를 요란스럽게 놀리며 걷는 이미지가 그 명명 속에 담겨져 있다. ‘개사’는 두 말할 것도 없이 ‘절개 있는 선비’란 얘기다.

게의 또 다른 이름은 ‘무장공자(無腸公子)’다. ‘무장’은 창자가 없다는 얘기다. 게의 껍질을 벗겨보면 내장이라 할 만한 게 별로 없다. 거의 텅 비어있다. 겉보기는 용맹한 무사와 빼닮았는데 막상 속을 까보면 창자가 없어, 이를테면 ‘배알 빠진 떠꺼머리’ 꼴이다. 창자가 빠지면 실없는 꼬락서니가 될까. 천만에, 오히려 남부러운 성정도 생긴다. 단장(斷腸)의 슬픔, 곧 창자가 끊어지는 서러움을 모르게 된다는 것이다. 이게 미물에게 ‘공자’라는 점잖은 신분을 안겨준 연유다. 한말의 유학자 윤희구는 그래서 ‘공자는 창자가 없으니 진정 부럽구려/ 평생 단장의 아픔을 모를 터이니’라고 읊었다. 근대 화가들이 이별하고 눈물짓는 이를 달래려고 게 그림을 선물로 건넨 것도 다 그런 까닭이 있어서다.

옛 화가들이 게를 그릴 때 맨 먼저 작심하는 뜻은 ‘과거(科擧)’다. 이유는 뻔하다. 게는 등딱지가 제일 먼저 눈에 띄는 특성이다. 하여 껍질 ‘갑(甲)’으로 뜻이 전용될 수 있고, ‘갑’은 또 ‘일등’이나 ‘장원’과 통한다. 게야말로 ‘장원 급제’를 기원하는 그림 소재가 되기에 딱 알맞다 하겠다. 이 작품을 보라. 단원 김홍도가 그려놓은 게 그림이다. 게 두 마리가 갈대꽃을 집게발로 꽉 붙들고 있다. 여기에 무슨 뜻이 들어있을까. 게는 앞서 말한 그대로 ‘장원’을 상징한다. 갈대는 한자로 ‘로(蘆)’라고 쓴다. 이 글자와 비슷한 발음에 ‘려(月+盧)’자가 있다. 화가는 겉으로 갈대를 그려놓고 속으로는 ‘려’자가 가진 의미를 꿈꾼다. ‘려’는 윗사람의 말을 아랫사람에게 전한다는 뜻이다. 그래서 옛말에 ‘여전(月+盧傳)’이라고 하면, 임금이 과거에 급제한 사람을 호명한다는 의미가 된다.

김홍도, ‘게와 갈대’, 18세기, 종이에 담채, 23.1×27.5㎝, 간송미술관 소장
김홍도, ‘게와 갈대’, 18세기, 종이에 담채, 23.1×27.5㎝, 간송미술관 소장
 
게 그림을 그린 단원 김홍도의 속내를 요약하자면 이렇다. ‘과거에 장원 급제해서 임금이 너의 이름을 불러주는 것과 동시에 알현하는 영광도 누리기를 바란다.’ 게 그림 하나로도 이렇게 많은 말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옛 그림을 읽는 쏠쏠한 재미이기도 하다. 단원은 게를 두 마리 그렸다. 한 마리를 그린 것과는 좀 다른 요구가 있을까. 당연히 있을 테다. 두 마리를 그리면 소과뿐만 아니라 대과까지 연이어 급제하란 주문이다. 그림 속에 써놓은 글도 눈길을 끈다. 여기서 단원은 소과 대과 장원을 넘어 한술 더 뜬다. 해석부터 해보자. ‘바다의 용왕이 있는 곳에서도 옆걸음질 친다(海龍王處也橫行).’ 이 구절은 출전이 따로 있다. 당나라 시인 피일휴가 쓴 ‘영해(詠蟹)’, 즉 ‘게에 대해 읊다’라는 시의 마지막에 나오는 말이다. 시의 전문을 다 읽어보면 이렇다. ‘푸른 바다에 다다르지 않아도 일찍이 그 이름 알려졌지/ 뼈대가 도리어 살점을 뚫고 튀어나왔다네/ 속이 없다고 우레와 번개 무서워한다 말하지 마라/ 바다의 용왕이 있는 곳에서도 옆걸음질 친다’

게의 용맹성이 무릇 그러하다. 오죽하면 게의 영광스런, 또 다른 하나의 별명이 ‘횡행개사(橫行介士)’이겠는가. 게는 게걸음을 할 따름이다. 그런 게의 본성을 존중한 사람들은 ‘옆걸음질 치면서 절개 있는 선비’라고 불러준다. 게가 사람들 눈에 강골의 이단아로 비쳤던 까닭이겠다. 옛 이야기 하나 덧붙인다. 광해군 시절, 고향에 은거하던 정영방이란 문인이 있었다. 그는 이름난 정치가인 정경세의 제자였다. 인조반정 이후에 판서 벼슬을 지내던 스승 정경세가 정영방을 조정에 천거했다. 뒤늦게 알게 된 제자가 스승에게 선물 꾸러미를 보냈다. 스승이 풀어보니 게 한 마리가 옆걸음하며 나왔다. 스승은 제자의 뜻을 알아차리고 다시는 벼슬을 권하지 않았다. 모두가 ‘예스’라고 할 때, ‘노’라고 혼자 말하는 야무짐이 벼슬하는 자의 기개다. 백성은 게걸음 할 줄 아는 관리에게 박수를 쳤다.

◆ 손철주(미술평론가)

손철주(미술평론가)
 서울경제신문 기자, 국민일보 문화부장, 동아닷컴 취재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그림 아는 만큼 보인다’ ‘그림 보는 만큼 보인다’ ‘꽃피는 삶에 홀리다’ ‘옛 그림 보면 옛 생각 난다’ ‘속속들이 옛 그림 이야기’ 등이 있고, 공저로 ‘다, 그림이다’ 등이 있다. 현재 미술평론가로 활동한다.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사전에 협의한 이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정책브리핑의 기고, 칼럼의 저작권은 원작자에게 있습니다. 전재를 원할 경우 필자의 허락을 직접 받아야 하며, 무단 이용 시
저작권법 제136조
제136조(벌칙)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11. 12. 2.>
1. 저작재산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재산적 권리(제93조에 따른 권리는 제외한다)를 복제, 공연, 공중송신, 전시, 배포, 대여, 2차적저작물 작성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2. 제129조의3제1항에 따른 법원의 명령을 정당한 이유 없이 위반한 자
②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09. 4. 22., 2011. 6. 30., 2011. 12. 2.>
1. 저작인격권 또는 실연자의 인격권을 침해하여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명예를 훼손한 자
2. 제53조제54조(제90조 및 제98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따른 등록을 거짓으로 한 자
3. 제93조에 따라 보호되는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를 복제ㆍ배포ㆍ방송 또는 전송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3의2. 제103조의3제4항을 위반한 자
3의3.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2제1항 또는 제2항을 위반한 자
3의4.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3제1항을 위반한 자. 다만, 과실로 저작권 또는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 침해를 유발 또는 은닉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자는 제외한다.
3의5. 제104조의4제1호 또는 제2호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자
3의6. 제104조의5를 위반한 자
3의7. 제104조의7을 위반한 자
4. 제124조제1항에 따른 침해행위로 보는 행위를 한 자
5. 삭제 <2011. 6. 30.>
6. 삭제 <2011. 6. 30.>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1억달러 수출기업 300개 키우자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