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한국, ‘파리클럽’ 21번째 회원국 가입

국제 공적채무 재조정 논의체…박 대통령, 프랑스 방문때 가입의사

2016.06.30 기획재정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지난 6월초 프랑스를 국빈방문한 박근혜 대통령이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 한국의 파리클럽의 가입의사를 표명한 뒤 신속한 추가조치로 7월 1일 정식가입하게 됐다.<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지난 6월초 프랑스를 국빈방문한 박근혜 대통령이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 한국의 파리클럽의 가입의사를 표명한 뒤 신속한 추가조치로 7월 1일 정식가입하게 됐다. (사진=저작권자(c) AP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우리나라가 파리클럽 21번째 회원국이 된다.

파리클럽은 국제 공적채무 재조정에 관한 핵심 논의체로, 채무국이 공적채무를 정상적으로 상환할 수 없는 구조적 어려움에 처했을 경우 공적채무 재조정을 논의하는 20개 선진 채권국들의 비공식 협의체이다.

이를 위해 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이 7월1일 개최될 ‘파리클럽 60주년 기념식 및 한국의 가입서명식’에 참석한다.

한국의 파리클럽 가입은 지난 6월초 프랑스를 국빈방문한 박근혜 대통령이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의 정상회담에서 한국의 파리클럽 정회원국 가입의사를 표명한 뒤 그 후속조치로, 정부는 조속히 정회원으로 활동하기 위하여 파리클럽 사무국 및 기존 회원국과 긴밀히 협의하여 신속하게 가입하게 됐다.

이번 가입서명을 통해 한국은 파리클럽의 21번째 회원국이자 기존 선진국이 아닌 첫 번째 회원국이 될 전망이다.

* 20개 회원국 : 호주, 오스트리아, 벨기에, 캐나다,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아일랜드, 이탈리아, 일본,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영국, 미국, 러시아, 이스라엘(러시아를 제외한 19개국이 OECD 회원국)

최 차관은 폐회사를 통해 세계경제의 안정적 발전을 위한 파리클럽의 기여를 평가하고, 파리클럽 가입 이후 한국의 역할에 대해서도 밝힐 예정이다.

이번 행사에는 의장국인 프랑스의 미셸 사팽 재무장관은 물론이고,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 조아킹 레비 세계은행(WB) 상무이사 등 국제기구와 미국, 영국, 중국 등 주요국 재무부, 중앙은행 등의 고위급 인사들이 참석하여 세계경제 현안에 대해 논의할 전망이다.

또한, ‘국제금융시스템 내에서 파리클럽이 이룩한 기여’및 ‘신흥국 비중 확대에 따른 공적 채무재조정 지형의 변화’에 대한 라운드테이블도 진행될 예정이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건강 지키는 천연 모기퇴치제 3가지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