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여성농업인 맞춤형 허리건강 프로그램 개발

농식품부-강원대 보건센터, 편의장치 활용·빅3운동 등 권고

2017.04.27 농림축산식품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여성농업인이 남성보다 허리통증 빈도와 허리디스크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작업으로 인한 허리질환 예방을 위해 편의장비 활용과 허리근력 강화운동을 해야한다.
여성농업인이 남성보다 허리통증 빈도와 허리디스크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작업으로 인한 허리질환 예방을 위해 편의장비 활용과 허리근력 강화운동을 해야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강원대학교병원 농업안전보건센터를 통해 여성농업인을 위한 맞춤형 허리건강 프로그램을 개발, 이를 확산할 계획임을 밝혔다.

농업안전보건센터는 농업인의 직업성 질환에 대한 조사·연구와 예방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으로 지난 2013년부터 전국의 대학병원을 대상으로 선정·운영하고 있다. 강원대병원은 2013년 농업안전보건센터로 지정돼 농업인의 직업성 허리질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강원대 센터는 2013~2014년 영농유형별(수도작, 시설, 노지, 과수) 1013명(남성 479명, 여성 534명)을 대상으로 의학검진한 결과 농업인의 허리통증 빈도(여성 60%>남성 43%) 및 허리디스크 비율(여성 53%>남성 37%)에서 여성농업인이 더 취약한 것을 확인했다.

그 원인으로는 기본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허리근력이 약하고 허리근육량이 적으며, 생리·임신·폐경 등의 신체변화를 겪고 남성보다 육아와 가사 노동에 많이 노출되기 때문이다.

또한, 여성농업인은 남성보다 노지채소 등 밭농사에서의 농작업 부담이 높고 허리에 부담이 큰 쪼그려 앉기(여성 66.2%>남성 40.7%), 몸통을 45도 이상 숙이는 작업(여성 52.0%>남성 45.5%)을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몸통을 45도 이상 숙이는 작업은 허리 통증 발생의 위험도를 약 2배 높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45도 이상 몸통을 숙이게 되면 역설적으로 허리의 뻐근함을 잠시 잊게 되는데, 이는 허리 근육의 수축 정도가 오히려 감소하게 되어 허리근육이 허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강원대 센터는 농작업시 허리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다음 생활 가이드를 마련해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우선, 농작업시 이동식 작업의자 등 편의장비를 활용하고 중량물을 밀거나 당길 때는 바퀴 달린 운반구를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또한, 50분 근로 후 10분 휴식을 할 것과 평상시 허리근력 강화운동(맥길의 빅3 운동 : 복근운동, 옆구리 운동, 엉덩이 운동)을 꾸준히 할 것을 권고했다.

빅3 운동이란 캐나다 워터루 대학교 맥길 교수의 운동 방법으로 허리를 안정되고 견고한 자세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강한 근육수축을 유발하는 운동이다.

농식품부는 앞으로도 전국의 5개 농업안전보건센터를 통해 농업인의 직업성 질환을 지속 연구하고, 이를 활용해 농업인 질환예방 및 사고 방지 교육을 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교육부, 미세먼지 안전관리협의회 신설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