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2020-21절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현황(10월31일 0시)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현황은 10월 31일 0시 기준 약 1,708만 건*이 등록되었으며, 이 중 국가예방접종사업 대상자의 접종건수는 1,156만 건이라고 밝혔다.
* 예방접종통합관리시스템에 자발적으로 입력된 유료접종 552만 건 포함
【접종 대상자별 접종현황(10.31일 0시 기준)】
1) 2회 접종대상자의 경우, 9월 8일부터 사업 추진하였으나 9월 22일∼24일 일시 중단
2) 만 62∼69세의 경우, 10월 26일부터 사업 시행이나 지역특성, 당일진료 등의 사유로 예외인정 되는 경우 10월 19일부터 무료접종 가능
<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 현황 >
□ 질병관리청은 ’20-’21절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사례로 1,669건(10.31일 0시 기준)이 신고 되었으며,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신고된 사망 사례는 총 83건(10.31일 0시 기준)으로 72건은 역학조사 및 피해조사반 심의 결과, 사망과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은 매우 낮다고 판단하였으며, 11건은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다.
○ 신고 된 사망사례는 70대 이상이 85.5%(71건)였고, 만 70세 이상 어르신 국가 예방접종 지원 사업이 시작된 10월 셋째 주(10.19~25일)에 신고가 집중되었으며, 지역별로는 서울, 경기, 경남, 전북, 전남, 대구에서 71.1%(59건)가 신고 되었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사망 신고사례 현황(10.31일 0시 기준)】
* 10.16.∼10.31 00:00까지 사망사례 건수 (중증신고 후 사망사례 포함)
* 10.16.∼10.31. 00:00까지 사망사례 건수 (중증신고 후 사망사례 포함)
○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사망까지 경과 시간은 50건(60.2%)에서 48시간 이상 소요되었고, 24시간미만은 13건(15.7%)이었다.
【사망 신고사례 시기별 접종일 및 접종 후 사망까지 기간(10.31일 0시 기준)】
○ 10월 30일 개최된 피해조사반 신속대응 회의에서 추가된 사망사례 1건 대해 인과성 여부를 검토한 결과 사망과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은 매우 낮다고 판단하였다.
- 검토한 사망 사례는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급성으로 증상이 나타나는 아나필락시스에는 해당하지 않았고, 동일 의료기관, 동일 날짜, 동일 제조번호 접종자들을 대상으로 이상반응 여부를 확인한 결과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사례는 없어 백신의 이상이나 접종 과정상의 오류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하였다.
- 10.30일까지 총 72건에 대해 개별사례별로 기초조사 및 역학조사 결과, 부검결과, 의무기록, 수진기록 등을 검토한 결과, ① 모든 사망사례에서 사망당시 백신의 이상반응으로 추정되는 소견이 없음, ② 기저질환(심혈관계 질환, 뇌혈관계 질환, 당뇨, 만성 간질환, 만성신부전, 부정맥, 만성폐질환, 악성 종양 등)의 악화로 인한 사망가능성이 높음, ③ 부검 결과 명백한 다른 사인이 있음(대동맥 박리, 급성심근경색증, 뇌출혈, 폐동맥 혈전색전증 등), ④ 임상적으로 사망에 이른 다른 사인이 있음(질식사, 패혈증 쇼크, 폐렴, 신부전 등) 등의 이유로 지금까지 검토한 사례 모두 사망과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은 매우 낮아 백신 재검정이나 국가예방접종사업 중단을 고려할 상황이 아니라고 판단하였다.
○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10.30일까지 신고 된 사망 사례 총 83건 중 10.30일까지 40건에 대해 부검을 시행하였으며, 33건은 시행하지 않았고, 10건은 부검 진행여부를 확인 중이다.
○ 10.29~30일에 추가로 확인된 사망 사례 11건에 대해서는 조사 중이며, 지속적으로 인과성 확인, 추가 조사 및 분석을 진행할 계획이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인플루엔자 유행수준은 예년보다 낮고 유행시기가 늦어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으로 예방접종을 너무 서두르지 마시고 건강상태가 좋은 날에 예방접종을 받아주시기 당부“ 드리며,
○ “접종 대기 중에는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예진 시 아픈 증상이 있거나 평소에 앓고 있는 만성질환, 알레르기 병력은 반드시 의료인에게 알리시고, 접종 후 반드시 의료기관에서 15~30분간 이상반응 여부를 관찰하며, 접종 당일은 몸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쉬는 등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한 주의사항을 강조“하였다.
○ 예방접종 후 접종부위의 통증, 빨갛게 부어오름, 부종이나 근육통, 발열, 메스꺼움 등 경미한 이상증상은 접종 후에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대부분 1-2일 이내에 호전된다. 그러나 접종 후 호흡곤란, 두드러기, 심한 현기증 등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의 진료를 받으시길 안내하였다.
<참고> 1. 예방접종 전·중·후 주의사항
2.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시 의료기관 준수사항
3.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이상반응 관련 FAQ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현황은 10월 31일 0시 기준 약 1,708만 건*이 등록되었으며, 이 중 국가예방접종사업 대상자의 접종건수는 1,156만 건이라고 밝혔다.
* 예방접종통합관리시스템에 자발적으로 입력된 유료접종 552만 건 포함
【접종 대상자별 접종현황(10.31일 0시 기준)】
구분 |
대상자(명) |
접종실적(건, %) |
사용백신 |
||||
무료 |
유료 |
계 |
|||||
생후 6개월 -만12세 |
2회 접종자 (9.81)∼) |
1차 |
405,424 |
222,515 |
5,233 |
227,748 |
민간 자체 구매 백신 |
(54.9) |
(1.3) |
(56.2) |
|||||
2차 |
100,912 |
3,577 |
104,489 |
||||
(24.9) |
(0.9) |
(25.8) |
|||||
1회 접종자 (9.25∼) |
4,781,261 |
3,293,639 |
170,755 |
3,464,394 |
|||
(68.9) |
(3.6) |
(72.5) |
|||||
임신부(9.25∼) |
304,284 |
110,345 |
1,194 |
111,539 |
|||
(36.3) |
(0.4) |
(36.7) |
|||||
만13-18세(10.13∼) |
2,840,374 |
1,345,402 |
143,523 |
1,488,925 |
조달계약 백신 |
||
(47.4) |
(5.1) |
(52.4) |
|||||
만62세 이상 |
만70세 이상 (10.19∼) |
5,669,208 |
4,095,221 |
133,299 |
4,228,520 |
||
(72.2) |
(2.4) |
(74.6) |
|||||
만62-69세 (10.26∼)2) |
4,983,533 |
1,712,035 |
219,344 |
1,931,379 |
|||
(34.4) |
(4.4) |
(38.8) |
|||||
계 |
18,984,084 |
10,880,069 |
676,925 |
11,556,994 |
|
1) 2회 접종대상자의 경우, 9월 8일부터 사업 추진하였으나 9월 22일∼24일 일시 중단
2) 만 62∼69세의 경우, 10월 26일부터 사업 시행이나 지역특성, 당일진료 등의 사유로 예외인정 되는 경우 10월 19일부터 무료접종 가능
<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 현황 >
□ 질병관리청은 ’20-’21절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사례로 1,669건(10.31일 0시 기준)이 신고 되었으며,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신고된 사망 사례는 총 83건(10.31일 0시 기준)으로 72건은 역학조사 및 피해조사반 심의 결과, 사망과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은 매우 낮다고 판단하였으며, 11건은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다.
○ 신고 된 사망사례는 70대 이상이 85.5%(71건)였고, 만 70세 이상 어르신 국가 예방접종 지원 사업이 시작된 10월 셋째 주(10.19~25일)에 신고가 집중되었으며, 지역별로는 서울, 경기, 경남, 전북, 전남, 대구에서 71.1%(59건)가 신고 되었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사망 신고사례 현황(10.31일 0시 기준)】
사망신고 시기 |
계 |
성별 |
연령대 |
||||
남 |
여 |
60대 미만 |
60대 |
70대 |
80대 이상 |
||
계 |
83 |
46 |
37 |
8 |
4 |
37 |
34 |
∼10.19일 |
1 |
1 |
0 |
1 |
0 |
0 |
0 |
10.19∼25일 |
59 |
32 |
27 |
4 |
2 |
26 |
27 |
10.26∼30일 |
23 |
13 |
10 |
3 |
2 |
11 |
7 |
* 10.16.∼10.31 00:00까지 사망사례 건수 (중증신고 후 사망사례 포함)
사망신고 시기 |
계 |
지역 |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
계 |
83 |
13 |
3 |
8 |
2 |
1 |
3 |
0 |
0 |
12 |
2 |
2 |
4 |
8 |
8 |
6 |
10 |
1 |
∼10.19일 |
1 |
|
|
|
1 |
|
|
|
|
|
|
|
|
|
|
|
|
|
10.19∼25일 |
59 |
8 |
2 |
5 |
1 |
1 |
2 |
|
|
5 |
2 |
|
3 |
6 |
8 |
6 |
9 |
1 |
10.26∼30일 |
23 |
5 |
1 |
3 |
|
|
1 |
|
|
7 |
|
2 |
1 |
2 |
|
|
1 |
|
* 10.16.∼10.31. 00:00까지 사망사례 건수 (중증신고 후 사망사례 포함)
○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사망까지 경과 시간은 50건(60.2%)에서 48시간 이상 소요되었고, 24시간미만은 13건(15.7%)이었다.
【사망 신고사례 시기별 접종일 및 접종 후 사망까지 기간(10.31일 0시 기준)】
사망신고 시기 |
계 |
접종일 |
접종∼사망 경과 시간 |
||||||||||||||
∼ 10. 18일 |
19 일 |
20일 |
21일 |
22일 |
23일 |
24일 |
25일 |
26일 |
27일 |
28일 |
29일 |
∼24h |
24∼48 h |
48∼72h |
72h∼ |
||
계 |
83 |
5 |
41 |
19 |
9 |
4 |
0 |
0 |
0 |
0 |
4 |
0 |
1 |
13 |
20 |
13 |
37 |
∼10.19일 |
1 |
1 |
- |
- |
- |
- |
- |
- |
- |
- |
- |
- |
- |
- |
1 |
- |
- |
10.19∼25일 |
59 |
4 |
34 |
12 |
8 |
1 |
0 |
0 |
0 |
- |
- |
- |
- |
11 |
14 |
11 |
23 |
10.26∼30일 |
23 |
- |
7 |
7 |
1 |
3 |
0 |
0 |
0 |
0 |
4 |
0 |
1 |
2 |
5 |
2 |
14 |
○ 10월 30일 개최된 피해조사반 신속대응 회의에서 추가된 사망사례 1건 대해 인과성 여부를 검토한 결과 사망과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은 매우 낮다고 판단하였다.
- 검토한 사망 사례는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급성으로 증상이 나타나는 아나필락시스에는 해당하지 않았고, 동일 의료기관, 동일 날짜, 동일 제조번호 접종자들을 대상으로 이상반응 여부를 확인한 결과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사례는 없어 백신의 이상이나 접종 과정상의 오류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하였다.
- 10.30일까지 총 72건에 대해 개별사례별로 기초조사 및 역학조사 결과, 부검결과, 의무기록, 수진기록 등을 검토한 결과, ① 모든 사망사례에서 사망당시 백신의 이상반응으로 추정되는 소견이 없음, ② 기저질환(심혈관계 질환, 뇌혈관계 질환, 당뇨, 만성 간질환, 만성신부전, 부정맥, 만성폐질환, 악성 종양 등)의 악화로 인한 사망가능성이 높음, ③ 부검 결과 명백한 다른 사인이 있음(대동맥 박리, 급성심근경색증, 뇌출혈, 폐동맥 혈전색전증 등), ④ 임상적으로 사망에 이른 다른 사인이 있음(질식사, 패혈증 쇼크, 폐렴, 신부전 등) 등의 이유로 지금까지 검토한 사례 모두 사망과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은 매우 낮아 백신 재검정이나 국가예방접종사업 중단을 고려할 상황이 아니라고 판단하였다.
○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10.30일까지 신고 된 사망 사례 총 83건 중 10.30일까지 40건에 대해 부검을 시행하였으며, 33건은 시행하지 않았고, 10건은 부검 진행여부를 확인 중이다.
○ 10.29~30일에 추가로 확인된 사망 사례 11건에 대해서는 조사 중이며, 지속적으로 인과성 확인, 추가 조사 및 분석을 진행할 계획이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인플루엔자 유행수준은 예년보다 낮고 유행시기가 늦어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으로 예방접종을 너무 서두르지 마시고 건강상태가 좋은 날에 예방접종을 받아주시기 당부“ 드리며,
○ “접종 대기 중에는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예진 시 아픈 증상이 있거나 평소에 앓고 있는 만성질환, 알레르기 병력은 반드시 의료인에게 알리시고, 접종 후 반드시 의료기관에서 15~30분간 이상반응 여부를 관찰하며, 접종 당일은 몸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쉬는 등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한 주의사항을 강조“하였다.
○ 예방접종 후 접종부위의 통증, 빨갛게 부어오름, 부종이나 근육통, 발열, 메스꺼움 등 경미한 이상증상은 접종 후에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대부분 1-2일 이내에 호전된다. 그러나 접종 후 호흡곤란, 두드러기, 심한 현기증 등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의 진료를 받으시길 안내하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참고> 1. 예방접종 전·중·후 주의사항
2.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시 의료기관 준수사항
3.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이상반응 관련 FAQ
“이 자료는 질병관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해양경찰, 소연평도 실종 공무원 수색 경비병행 전환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다음주부터 '폭염 시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 보장' 의무화
-
7월부터 어린이집 0∼2세·장애아 보육료 지원금 오른다
-
'국민비서'가 소비쿠폰 금액·신청방법 등 미리 알려드려요
-
민생회복 소비쿠폰 대상과 일정이 궁금하다면!?
-
이 대통령 "폭염 극심…국민 건강·재산 지키는데 가용 행정력 총동원"
-
해수부, 부산 청사 자리 확정…연내 일괄 이전 마무리
-
금융당국,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 가동…불공정거래 '원스트라이크 아웃'
-
'소비쿠폰' 문자에 URL 링크있다면 100% 사기…"118번 신고를"
-
내년 '최저임금 시간급' 2.9%↑, 1만 320원…"17년만에 합의"
-
1년 이상 성실상환 채무자 '개인회생 기록' 즉시 삭제 추진
최신 뉴스
- 조류인플루엔자 예방 및 국제협력 강화를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 머리 맞대
- [보도자료] 김민석 국무총리, 2025 APEC 정상회의 준비현황 특별점검
-
영상
조선권익실록 EP1. 장기 복용 약값 편
- 고용부 "산재보험제도 개선 관련 내용, 확정된 바 없어"
- 기재부 "한미 2+2 통상 협상, 이달 개최 여부 확정된 바 없어"
-
10월 경주 APEC 정상회의…이 대통령, 20개 회원국에 초청 서한
- 어업경영체 등록, 가까운 읍면동에서도 신청할 수 있어요!
- 2025년 국제 해양사고조사 토론회 개최
- 바다 위 특별한 일주일, 크루즈 체험단 신청하세요
- 케이(K)-천연물 바이오산업 활성화 '민관 협업'으로 답 찾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