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제33차 한-일 관세청장회의」 개최

2024.05.23 관세청
목록


33차 한-일 관세청장회의개최

 - 지난해 932차 한-일 관세청장회의이후 8개월 만에 재개

 - 양 관세당국 간 협력 현황 점검 등 향후 세관 협력 방향 논의


 

고광효 관세청장에지마 카즈히코(江島 一彦) 일본 재무성 관세국장522(, 15:30) 도쿄에서33차 한-일 관세청장회의를 개최했다.

 

 ㅇ 동 회의는 2016년 이후 7년 만에 재개됐던 32차 한-일 관세청장회의(’23.9.)에서 논의한 사항이 선언적 수준 그치지 않고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구체적·실질적인 세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8개월 만에 마련됐다.

 

양 관세당국은 국경 간 물품 이동의 최일선인 세관 현장에서의 협력사회 안전경제 번영에 이바지한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실무교류 현황 점검 및 성과 보고를 한 후 향후 계획을 논의했다.

 

 1) (사회 안전) 양 관세당국은 마약류 밀수  국경 간 범죄에 있어 정보 공유 및 세관 간 협력필수적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하며, 국가 간 우범거래 차단을 위한 위험정보 교환 등을 논의했다.

 

- 특히 양 관세당국은 최근 급증하는 선박, 컨테이너 화물 등 해상경로 통한 마약류 밀반입적발 및 대응 현황을 공유하고 단속 공조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2) (경제 번영) 양 관세당국은 급증하는 전자상거래 통관 처리 물량에 대응한 양국의 제도 및 경험 공유하는 한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활용도 제고하기 위한 원산지 사전심사, 검증 등 실무단계 협력 확대 합의했다.

 

* RCEP(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태지역 15개국이 참여한 세계 최대이자 한국-일본 간 첫 자유무역협정(FTA) // 발효일은 한국 ’22.2.1., 일본 ’22.1.1.


 3) (향후 계획) 양 관세당국은 양국 세관 간 자매결연 지원* 세관 현장 단계에서의 교류 협력 활성화 지원에도 뜻을 모았다.

 

* 현재 한국 부산세관과 일본 오사카세관이 자매결연 체결(’89)

 

한편 이번 방문에서 고 청장칸다 마사토(神田 眞人) 재무성 재무관예방(禮訪)하여 국제 경제의 동향양 관세당국 간 교류 및 향후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관세청은 앞으로도 ·태지역 주요 교역경제 협력국 미국, 일본, 호주  실질적인 세관 협력 강화하고, 영국 등과 관세청장 회의개최하는 등 적극적인 관세외교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글로벌 중추국가로서의 역할수행해나갈 계획이다.


“이 자료는 관세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공공 선주사업 추진 방향, 민·관이 함께 논의한다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