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3일부터 해외에서 우리나라로 입국하기 전 코로나19 음성확인서 제출 의무가 해제됐다. 기존에는 한국으로 돌아가는 비행편을 탑승하기 48시간 전에 유전자증폭(PCR) 또는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RAT)를 받아야 했다.
현지 약국과 병원, 테스트센터 등에서 저렴하지 않은 가격을 지불하고 음성확인서를 발급받은 후에야 한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는데 상당히 번거롭고 신경 쓰이는 과정 중 하나였다. 즐겁고 고단한 여행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이 마냥 편하지만은 않은 이유다. 이제는 입국 전 코로나19 검사 등 일련의 과정이 해제되고 입국 후 24시간 이내 PCR 검사만 남게 되면서 해외여행을 가는 지인들이 정말 많아졌다.
주 그리스 대한민국 대사관. |
코로나19 발생 후 처음으로 여름방학을 맞아 친구와 함께 해외여행을 다녀왔다. 그리스를 여행하던 중 여권을 도둑맞는 황당한 경험을 했다. 지하철 출입문이 고장난 것 같은 상황을 연출하고는 귀중품을 빼앗는 수법이었다. 처음에는 너무 막막했다. 여권을 분실한 게 처음이었을 뿐더러, 곧 이스라엘로 넘어가야 하는 항공편이 임박했기 때문이다. 여기저기 정보를 수소문한 끝에 대한민국 대사관에 방문하면 여권 관련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주 그리스 대한민국 대사관에 방문하기로 했다.
여권 분실 확인서를 발급받기 위해 현지 관광경찰에 방문했다. |
해외에 위치한 대사관에서 여권 분실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현지 관광경찰에게 분실 확인서를 발급받아야 한다. 대부분의 대사관이 현지 경찰이 발급한 분실 확인서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보통 외국인을 위한 분실 신고 업무는 관광경찰이 진행하는데, 경찰의 업무 범위가 모두 다르니,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스의 경우는 아테네 도심에 관광경찰서가 위치했고 관광경찰의 몇 가지 질문에 답한 후 여권 분실 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었다. 분실 확인서를 가지고 대한민국 대사관에 방문하면 대한민국 긴급여권과 일반여권 두 가지를 신청할 수 있다.
대한민국 긴급여권. |
긴급여권과 일반여권은 목적과 용도, 사용 범위가 다르다. 일반여권은 대한민국 행정기관에서 발급받는 여권과 동일하다. 해외 대사관에서도 일반여권 발급 업무를 볼 수 있고, DHL 등 국제 특송 서비스를 신청하면 배송 기간을 일주일 내외로 앞당길 수 있다. 단, 해당 국가 대사관에서 신청하면 동일한 대사관에서 수령해야 한다.
긴급여권은 일반여권과 성격이 다르다. 긴급여권은 신청 당일에 즉시 발급받을 수 있다. 단수여권으로 발급지 기준 왕복 1회(출국, 입국 각 1회)에 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발급지 국가로 돌아올 때 그 효력을 상실한다. 또한 긴급여권으로 출국 후 같은 국가를 2회 방문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즉, 한 국가당 입출국이 1번씩 가능한 일회용 여권이다.
감사하게도 여권 사진은 대부분의 대사관에 촬영기기가 설치되어 있어 무료로 촬영할 수 있다. 일주일 정도 걸리는 일반여권 특급배송도 고려했지만, 이스라엘 항공편이 얼마 남지 않아 바로 받을 수 있는 긴급여권을 발급받아 이스라엘행 비행기에 올랐다.
대사관에서 여권 등 다양한 민원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
외국인이 긴급여권으로 출국과 입국을 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항공사 체크인 카운터에서도 긴급여권 사용 사유를 소명해야 했고 이스라엘 입국 시에도 그리스에서 발급받았던 분실 확인서를 제출해야 했다. 한국 일반여권의 위대함을 다시 느꼈던 순간이었다.
긴급여권은 1개국 1회 입국, 1회 출국이므로 방문한 국가를 다시 방문하지 않는다면 이론상 긴급여권만으로도 계속 여행이 가능하다. 하지만 일부 긴급여권의 입국을 인정하지 않는 국가가 있다. 앞으로 남은 여행지에서는 요르단과 이집트가 긴급여권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래서 이스라엘에 입국 후 DHL 특송 서비스로 일반여권을 발급받기로 했다.
주 이스라엘 대한민국 대사관에 펄럭이는 태극기. |
해외에서 대한민국 대사관 건물을 마주하면 가슴이 벅차오른다. 특히 해외에서 마음고생 중 펄럭이는 태극기를 맞이하면 괜스레 울컥해진다. 일반여권을 발급받기 위해 방문한 주 이스라엘 대한민국 대사관에 방문했을 때도 역시 벅차오름과 동시에 안정감을 느꼈다.
처음 대사관에 방문했을 때 직원 분이 시원한 한국식 아이스 커피로 맞아주셨다. 무더운 날씨에 배낭여행 중인 내게는 단비, 성수라고 표현해도 부족함이 없었다. 외국이었지만 대한민국 땅에서 보호받는다는 느낌이 들었다. 현지 여행 정보와 주의사항, 도움이 되는 정보도 아낌없이 제공해주셨다. 여권 역시 DHL 특급배송으로 6일 만에 도착했다.
외교부 영사민원24. |
외교부 영사민원24 여권 분실시 조치. |
해외에서 여권을 분실했을 때는 즉시 분실 신고를 하는 것이 좋다. 대사관에 방문해 절차를 밟을 수 있지만 빠른 분실 신고를 통해 분실된 여권의 효력을 정지시키는 게 우선이다. 외교부 영사민원24 홈페이지(https://consul.mofa.go.kr/)를 통해 온라인으로 여권 분실 신고 민원을 신청할 수 있다.
대한민국 대사관은 보통 수도에 위치하기에 대사관으로의 빠른 방문이 어렵거나 여권 분실 후 혹시 모를 피해 예방을 위해 미리 인터넷으로 분실 신고를 진행한 뒤, 현지 경찰에 분실 확인서를 발급받으면 추가적인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이 자리를 빌려 현지에서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다.
-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이렇게 금연을 권하는 방법, 괜찮은데요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