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와 대중, 그리고 나훈아
김종면 서울여자대학교 국문과 겸임교수
2017.07.24
김종면 서울여자대학교 국문과 겸임교수
순수문학과 대중문학 사이에 놓여 있는 문학을 흔히 중간문학이라고 한다. 중간문화라고 할 경우도 같은 맥락이다. 여기서 중간은 영어로 미들브라우(middlebrow)다. 평범한 교양을 갖춘 지성인을 가리킨다. 이해하는 데 많은 사고가 필요하지 않은 중간급의 책이나 음악 등을 지칭할 때도 종종 쓰인다. 거기엔 모종의 부정적인 뉘앙스가 담겨 있다. 대중의 취향에 영합해 상업적인 목적을 달성하려는 측면이 강하다는 식의 비판이 그 한 예다.
순수문학과 대중문학의 경계가 희미해진 시대, 그 둘을 굳이 구분하려 드는 것은 별 의미가 없을지 모른다. 틈새를 겨냥한 것일까. 중간문학 옹호자들은 순수문학의 예술적 기능과 대중문학의 오락적 기능을 동시에 충족시켜줄 문학형태로 중간문학의 효용을 강조한다. 1960년대 초 ‘소설의 죽음’을 선언한 미국의 문학평론가 레슬리 피들러는 판타지, SF, 추리, 공포 등 장르물을 중간문학의 범주에 넣었다. 문학적 엄숙주의에 물든 정전주의자들도 밤에는 커튼을 내리고 몰래 중간문학을 읽는다는 게 그의 지적이다. 중간문학은 매혹의 문학인가.
지식인소설이나 예술소설이 고립된 섬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서로 뒤섞이는 하이브리드 시대, 경계를 가로지르는 트랜스 시대다. 우리는 비순수의 시대를 살고 있다. 순수문학 본연의 품격을 지키고 대중의 건강한 오락욕구도 채워줄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중간문학이 있다면 이를 애써 외면할 이유는 없다. 그러나 말초적인 자극을 추구하는 대중추수적인 통속문학이 중간문학의 외피를 두르고 ‘팔리는’ 상품으로 통용된다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중간문학과 관련해 종종 회자되는 작가가 무라카미 하루키다. 혹자는 이미 세계적 보편성을 획득한 그의 작품들, 이를테면 ‘노르웨이의 숲’이나 ‘해변의 카프카’ 같은 것을 놓고 순수-대중을 논하는 것 자체가 부질없는 일이라고 주장한다. 최근 하루키 신작 ‘기사단장 죽이기’는 서점에 깔리기도 전에 예약판매 주문이 폭주하며 국내 베스트셀러 집계 수위에 올랐다. 이른바 ‘하루키스트’들은 오늘도 변함없이 두터운 팬덤을 형성하며 그의 문학에 열광한다. 하루키는 요시모토 바나나 등과 더불어 중간문학 작가로 분류되기도 한다. 노벨상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가 중간문학의 울타리에 묶인다고 해서 중간문학의 정당성이 온전히 확보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분명한 것은 하루키 문학의 표피성이나 자족성을 비판하기 전에 ‘하루키 현상’의 근원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이뤄져야 한다는 점이다.
중간문학을 넘어 중간문화로까지 생각을 넓혀보자. 순수문화와 대중문화의 가운데에 존재하는 것이 중간문화라면 대중문화가 무엇인가부터 살펴봐야 한다. 특정 사회나 계층을 넘어 대중이 공통으로 쉽게 접하고 즐길 수 있는 문화가 대중문화다. 가요, 영화, 드라마 같은 것이다. 그 중 가요를 보면 K 팝은 한류 붐의 기폭제 구실을 한 만큼 중간문화로서의 평가를 떠나 적어도 대중문화로서 폄훼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같은 대중문화 장르인 대중가요의 경우는 다르다. 유행가라는 통속의 굴레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한다. 대중문화에도 격이 있다는 듯 왠지 헐하게 보려는 기미가 있다. 대중가요는 그저 대중가요일 뿐인가.
가수 나훈아가 11년 만에 컴백했다고 해서 화제다. 나훈아는 한국의 대중가요 나아가 대중문화 현상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한 텍스트다. 그는 “가수는 꿈을 파는 사람이다. 꿈을 팔려면 꿈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지금은 그 꿈을 잃어버렸다”며 가요계를 떠났다. 그리고 다시 ‘꿈’을 이야기하며 돌아왔다. 디지털 음원 중심으로 돌아가는 요즘 가요 생태계를 감안해 음원 사이트에서 앨범도 공개했다. 나름 시대의 변화에 발을 맞춘 것이다. 그러나 노랫말은 예의 ‘아날로그’다. ‘아이라예’라는 제목의 노래만 해도 그렇다. “니 내를 사랑하나 아이라예 / 거라먼 싫어하나 아이라예 / 아이라예 아이라예 수줍어하던 / 그 사람이 생각이 난다…” 45년 전 그의 노래 ‘산마을 처녀’의 정서를 빼닮았다. “연분홍 옷고름을 매만지면서/ 처음 본 그 얼굴이 붉게 물들었네 / 뭐라고 인사할까 망설인 나에게 / 모르는 체 돌아서는 산마을 처녀…” 나훈아가 영원의 가수로 남기 위해서는 육체의 시간은 가도 정신의 시간은 늘 그 자리에 있음을 보여줘야 한다. 요체는 얼마나 순정한 노랫말을 지어내느냐 하는 것이다.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가수 밥 딜런이 ‘거리의 음유시인’으로 불리게 된 데는 그의 서사시적인 노랫말의 힘이 크다.
나훈아의 다양한 음악적 형식실험은 그것대로 의미 있는 일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작가정신이다. 순수문학가가 시류를 좇아 멀티미디어적 상상력에 기초한 중간문학 글쓰기를 시도한다면 이도저도 아닌 지경에 빠질 수 있다. 가수도 마찬가지다. 1930년대 모더니스트 시인 이상은 “절망이 기교를 낳고 기교 때문에 또 절망한다”고 했다. 모름지기 본질에 충실해야 한다.
우리 정서를 대표하는 전통가요를 트로트 하물며 ‘뽕짝’이라고 부르면 안 된다며 스스로 ‘아리랑 가수’, ‘아리랑 소리꾼’임을 내세운 나훈아다. 그러고 보면 그는 트로트에 숙명처럼 따라붙는 ‘통속’의 딱지를 떼어낼 적임자다. 멜로디는 죄가 없다. 마구잡이 노랫말이 문제다. 노랫말의 순수한 서정만 회복해도 대중문화의 한 장르로 트로트의 길은 열릴 것이다. 나훈아가 진정 ‘가황(歌皇)’으로 불리려면 마지막 꿈은 마땅히 그런 ‘가요작업’에 바쳐져야 하지 않을까.
◆ 김종면 서울여자대학교 국문과 겸임교수
서울신문에서 문화부장 등을 거쳐 수석논설위원을 했다. 지금은 국민권익위원회와 지방자치발전위원회 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서울여자대학교 국문과 겸임교수로 세계 문학과 글쓰기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