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더 빛나는, 더 아름다운, 더 새로운

한글날(10.9.) 맞아 서울 광화문광장을 비롯해 전국 각지에서 한글한마당(10.9.~10.18.) 열려.

2025.10.17 정책기자단 박성호
글자크기 설정
목록

매년 10월 9일 한글날은 세종대왕이 창제한 훈민정음의 정신을 기리고 한글 우수성을 되새기는 국가 기념일이다.

한글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창제자와 원리의 기록이 남아있는 문자로 대한민국의 정체성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유산이다.

이러한 한글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자 정부는 10월 9일부터 10월 18일까지 한글한마당 기간으로 정했다.

한글한마당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며 11일부터 14일 광화문광장을 비롯해 전국에서 열린다.

이번 한글한마당은 '알면 알수록, 한글'을 주제로 한글문화 산업전과 연계해 세 가지 주제로 진행된다.

첫 번째는 더 빛나는 한글이다.

훈민정음의 창제 철학과 과학적 원리를 살펴보고 한글을 소재로 한 상품들을 만날 수 있다.

두 번째는 더 아름다운 한글이다.

한글의 디자인을 빌린 아름다운 예술 작품을 관람할 수 있다.

마지막은 더 새로운 한글이다.

한글의 멋과 맛이 우리 삶 속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조명한다.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한글한마당 행사에 방문해 보고, 다양한 체험을 진행해 봤다.

강익중 작가가 제작한 '내가 아는 것'.
강익중 작가가 제작한 '내가 아는 것'.

광화문역에 내려서 광장으로 나오면 한글을 주제로 한 거대한 미술작품이 보인다.

강익중 작가가 제작한 '내가 아는 것'으로, 한 음절의 한글이 담긴 작은 캔버스가 주렁주렁 매달려 있다.

작가는 단순하고 소박하지만 모여서 큰 작품을 이루듯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가 되길 희망한다고 전했다.

한글의 조형미를 담은 제품들.
한글의 조형미를 담은 제품들.
데무의 다양한 작품들.
데무의 다양한 작품들.

작품을 주변으로 한글문화 산업전이 전시돼 있다.

한글 자음과 모음 구조를 옷 패턴에 적용한 데무와 비욘드클로젯, 한글의 조형미를 담은 제품을 선보이는 뮌, 무자기 등 다양한 제품이 눈길을 사로잡았다.

예쁜 옷과 생활용품에 한글을 결합하니 더 우아하게 느껴졌다.

티더블유엘의 부스, 윤동주 시인 관련 향수를 시향해볼 수 있다.
티더블유엘의 부스, 윤동주 시인 관련 향수를 시향해볼 수 있다.
한글 열쇠고리 만들기 부스.
한글 열쇠고리 만들기 부스.

한글문화 산업전 옆으로는 다양한 체험 행사가 열렸다.

대부분 아이를 대상으로 진행됐고 앙부일구 만들기, 한글 고서 만들기, 한글 문제 맞히기 등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행사가 많이 준비됐다.

다양한 글꼴들이 전시되어 있다.
다양한 글꼴들이 전시되어 있다.

중간에 한글 글꼴 디자인 공모전 수상작도 전시돼 관람해 봤다.

글꼴은 보통 문서 작성 프로그램에 널리 사용되기에 우리에게 익숙하다.

그러나 수상작들을 살펴보면 예쁘고 귀여운 글꼴이 아니라 한글 한 글자마다 멋을 살리고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주는 독특한 글꼴이었다.

마치 1900년대 신문을 본 듯한 글꼴에 감회가 새로웠다.

한글 악단 공연이 펼쳐지고 있다.
한글 악단 공연이 펼쳐지고 있다.

부스 옆은 거대한 무대가 설치됐다.

4일간 가요제, 뮤지컬, 요가 등 다양한 볼거리가 제공됐다.

방문했을 당시에는 한글 악단 공연 '무드등어쿠스틱'이 진행 중이었다.

아름다운 선율에 발길을 멈추고 객석에 앉아서 관람했다. 객석이 꽉 찰 만큼 아름답고 인상적인 공연이었다.

한글은 국민의 정체성과 문화적 자부심을 담은 소중한 유산이다.

이번 한글한마당은 한글의 우수함과 아름다움을 전시와 공연, 체험을 통해 보여줬다.

특히 한글이 예술과 디자인으로 확장되는 모습은 알면 알 수록이라는 주제와 맞게 한글의 뛰어남을 잘 나타냈다.

광화문광장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열리는 한글날 행사에 참여하고 한글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느껴보길 바란다.

☞ 2025 한글한마당 누리집 바로 가기


박성호
정책기자단|박성호
kevinrevo1234@gmail.com
접근하기 쉽고 누구나 함께할 수 있는 정책을 소개하겠습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2만 원 이상 주문하면, 5천 원 바로 할인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123대 국정과제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